-
-
데카메론 ㅣ 일신서적 세계명작100선 35
보카치오 지음 / 일신서적 / 1992년 1월
평점 :
절판
중세 후기에 유럽을 엄습한 페스트. 그 죽음의 사신을 중세인들이 이겨낼 재간은 없었다. 이들이 페스트에 대항하는 길은 기도하거나, 교외로 도망가는 것 뿐이었다. 가난한자들은 기도를 택했고, 부자들은 교외로 도망갔다. 전염병이 아직 도달하지 않은 한적한 시골 별장에서 도시의 부르조아지들은 죽음의 공포를 달래고 무료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각자 자신이 알고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기로 한다. 10명의 인간들이 열흘간에 걸쳐 풀어놓는 이야기는 어쩌면 당시 태동하고 있던 부르조아지들의 한담일 수도 있다. 이들의 한담이 어찌보면 한가한 부자집 인간들의 유희로 비쳐질지 모르지만 이들이 느끼는 감정과 생각이 고스란히 근대로 이전되었다는 사실이다. 결국 이들이 풀어놓은 이야기는 근대를 형성한 부르조아지들의 속에 담겨있는 생각일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특히 종교에 대해서 신랄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이는 종교적 사고가 근대적 사고와 상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데카메론의 역사적 의의는 근대소설의 효시라고는 하지만 아직도 곳곳에는 중세의 흔적이 남아있다. 부르조아지들은 여전히 제일 하층민인 농민들의 무식함을 경멸하고 귀족과 성직자들의 위선과 방탕을 풍자하고 조소한다. 당시 사람들에게 있어서 종교는 복합적인 의미로 다가왔다. 사실 당시 중세인들이 믿고있던 종교는 오직 하나였다. 그래서일까 중세인들은 종교와 성직자들을 비판하였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종교의 테두리 안에서 행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교회가 이런 요구를 묵살하게되자 테두리안에서의 변화 대신 근본적인 변혁을 시도하려 하였다. 교회가 민중의 바램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게되자 민중들은 본질적인 변화의 방향을 선택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결과 종교는 분열될 수 밖에 없었다. 당시 성직자들과 수도사들의 타락은 종교가 세속화됨으로서 나타난 당연한 귀결이었다. 교회의 세속화는 교권이 왕권보다 우위에 있다는 주장을 펼치면서 가속화되기 시작하였다. 교회는 세속권력과 결탁하여 새로운 지배자로 부상하게 되고 여기서 얻게된 부로 인해 부패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여기서 아주 재미있는 현상은 이 책에서 이야기를 구성하는 집단의 사고방식이라 하겠다. 쟈크 르 고프가 <중세의 지식인>이란 책에서 언급했듯이 초기의 인문주의자들은 대중을 위한 개혁가들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이들은 궁중에 속한 지식집단으로서 자신들의 권익을 위한 개혁을 우선시했다는 점이다. 이런 초기 인문주의자적인 관점이 이 책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이 이야기하는 대상들 가운데 성직자와 무지렁이 농민들은 언제나 신흥 부르조아지와 학생들의 먹이감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부르조아지나 학생들은 자신들의 이익과 욕망을 채우기 위해 성직자와 농민들을 속여 먹지만 그것은 이들의 이야기에서 하나의 웃음거리로밖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만 이 이야기에서 승리를 쟁취하게 되는 부르조아지와 학생계층은 근대로 들어오면서 새로운 지배계급으로 편입된다는 점이다. 상인들은 경제를 학생들은 귀족을 대신하는 새로운 관료집단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근대의 새로운 질서가 확립되는 것이다.
이제 새로운 신흥 부르조아지들은 페스트라는 거대한 부조리한 악에 대하여 교회의 도움을 필요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들은 자신들 스스로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페스트를 이겨내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교회의 신앙 대신 경제적 부의 관점으로 세상을 보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데카메론은 이런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