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고대사
람 샤란 샤르마 지음, 이광수 옮김 / 김영사 / 1994년 3월
평점 :
절판


서구인이 만든 메르카토르도법에 의한 지도를 보면 인도는 아주 작게 보인다. 이 지도를 봐서는 인도가 세계에서 6번째로 큰 나라라는 사실을 실감할 수 없다. 인도는 분명 세계 4대문명의 발상지 가운데 하나인 인더스문명이 탄생한 땅이다. 그럼에도 인도는 세계사의 위치에서 보면 이집트나 중국보다 낮은 대접을 받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것은 아마도 인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 이후 강대국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들의 길을 모색하면서 제3의 길을 걸어갔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런 인도가 못마땅한지 헐리우드 영화도 인도를 그리 좋게 묘사하지는 않는다. 헐리우드가 보는 인도의 모습은 전통에 얽매인 무지와 미신이 난무하는 곳-City of Joy-나 기괴한 식문화를 가진곳-인디애나 존스 미궁의 사원-으로 묘사할 뿐이다. 어디에도 인도의 깊은 내면의 문화와 역동적인 외적인 문화를 다루지는 않는다. 그나마 인도를 객관적으로 본 인도로 가는길 조차도 서구적 관점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를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인도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제일 처음 생각나는 단어는 천축天竺이란 단어다.  축은 악기 이름일 수도 있고 풍요로움을 뜻하기도 하니 천축의 뜻에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하나는 천상의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란 의미이고 또 다른 하나는 천상의 풍요로움이 지상에 발현된 나라 정도일 것이다. 우리는 인도를 어떤 의미로 받아들였을까. 삼국시대인들은 인도를 서축西竺이라 부르고 우리를 동축東竺이라 부르며 우리 문화적 정당성을 항상 인도에 빗대며 고양시켰다는 사실이다. 이는 우리가 알고 있듯 고대의 문화가 중국 일변도만은 아니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렇게 본다면 우리들은 인도를 천상의 풍요로움이 지상에 발현된 국가로 본 것이 틀림없다. 그 천상의 나라를 우리도 불국정토에 이루려 했으니 말이다. 그리고 인도는 우리 고대사의 가락국의 허황옥과도 연결지어 볼 수 있다.

인도는 과연 세계사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을까. 그것은 인도를 중심으로 힌두 문명권이 형성되었다는 사실로 대신할수 있다. 인도는 힌두문명권의 종주국이라 할 수 있다. 이 문명권의 영역은 동남아시아의 소승불교문화권과 인도네시아를 아우르는 방대한 지역이었다. 이는 중국문명이 한국, 베트남, 일본에 영향력을 끼친것보다 더 넓은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동남아시아의 문화는 중국문화권이 아니라 힌두문화권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양사에서 중국중심의 문화사가 얼마나 편협되고 왜곡된 시각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인도의 고대는 647년 하르샤 왕국이 붕괴되면서 막을 내린다. 하지만 이 시기는 가장 인도적인 문화가 꽃피우고 성숙되는 시기였다. 왜냐하면 하르샤 왕조 이후 인도는  10세기 이슬람이 인도 북부로 들어와 왕조를 세울 때까지 수많은 군소왕국으로 분열되어있었다.  우리가 왜곡된 시각으로 알고 있는 인도의 현재는 고대에 이미 완성된 틀을 가지고 있었다. 그 고대의 인도문명의 역동성은 엄청난 힘을 발휘했고 많은 지역에서 인도의 선진문명을 전수받으려 노력했다. 또 고대 인도은 인류에게 십진법과 제로空이라는 것을 선사함으로서 수학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했다. 중국인들은 틈만나면 자신들이 인류에게 화약, 종이, 나침반을 전해주었다고 자랑하지만 인도인들은 이 위대한 발명을 응용할 수 있는 위대한 체계를 전수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만큼 인도의 세계는 중국적 과시문명보다는 여유롭다는 증거가 아닐까. 한 나라의 고대사는 그 나라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한 나라의 사회. 경제. 문화. 종교등 모든 것이 형성되는 핵심적인 시기인 것이다. 이 시기의 인도를 엿볼 수 있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그리고 인도 고대사의 역동적인 모습을 보면서 현재 서구제국이 묘사한 인도의 모습이 본질과 얼마나 어긋나 있는가를 알 수 있다.

 이 책은 인도의 역사-아주 일부인 고대사-를 아는데 필요한 입문서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인도인이 직접 기술한 것이기에 그 신뢰성은 한층 더 크다.  끝으로 70년대 주인도대사를 지낸 고 이범석 외무장관이 대사시절 인도를 소개하던 말이 생각난다. <인도 정말로 대단한 나라입니다.  우리가 결코 무시해서는 안되는 나라입니다. 인도 정말 대단합니다. 인도를 느끼려면 와서 보십시오. 그러면 정말로 대단한 나라라는 것을 느끼게 될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