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로빙거 세계 - 한 뿌리에서 나온 프랑스와 독일
패트릭 기어리 지음, 이종경 옮김 / 지식의풍경 / 2002년 1월
평점 :
절판
프랑크족의 메로비치에 의해 세워졌다는 메로빙거 왕조는 유럽사에서 보면 초기 중세시대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이 시기의 역사는 우리에게 다소 낯설게 느껴지는데 그것은 이 시기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의 공동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어디에서도 거칠고 세련되지 못한 이들을 자신들의 조상이라고 인정하기를 꺼려했다. 그렇기 때문에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역사의 첫머리는 이 시대로부터 시작하고 있음에도 이 시기는 그렇게 강렬한 인상으로 다가오지 못하고 있다. 메로빙거 왕조가 이렇게 홀대를 받는 이유는 로마의 몰락 이후 서유럽 세계는 깊은 침체 속으로 빠져들어갔기 때문이리라. 즉 야만의 시대라고 인식된 이 시기를 선뜻 자신들의 자랑스런 역사의 시작으로 삼으려는 국가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시대는 수도원을 중심으로 혼란스런 시기가 서서히 정리되면서 이후 형성될 중세 유럽의 모습을 서서히 만들어가고 있는 시기였다. 라틴어가 종교의 언어이면서 외교의 언어로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고, 로마는 서유럽에서 이단과의 투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감으로서 이 지역의 정신문화를 선도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앞으로 로마가 이 세계의 중심으로 나설것임을 보여주는 표식이었다.
메로빙거의 시대는 클로비스가 성 레미에 의해 세례를 받음으로서 교회의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왕의 세례를 통해 교회는 왕국에 정통성을 부여하는 대신 왕국은 교회의 보호자가 된 것이다. 이는 교회가 유럽을 기독교화하는데 세속의 힘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아주 중요한 사건인 것이다.
또 이시기는 지중해 맞은편에 있는 팔레스타인지역과 북아프리카 지역이 아랍인들에 의해 이슬람화화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아랍인들은 왕성한 정복의 결과 지브로울터 해협을 넘어 유럽의 서쪽 끝인 이베리아반도를 석권하고 피레네를 넘어 서유럽을 위협한 시기이기도 하다. 아랍의 침입을 막아낸 칼 마르텔은 이후 메로빙거 왕조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되어 그 후손들이 새로운 왕조를 세우게 된다. 아랍의 팽창으로 서유럽은 동쪽으로는 동로마제국, 서로는 아랍인에 의해 포위된 형국이 되었다. 서유럽이 이 상태를 탈피하기까지는 앞으로도 수 세기의 시간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는 왕성한 선교의 시기이기도 하였다. 아일랜드는 유럽에서 가장 먼저 기독교를 받아들여 섬 전체가 그리스도의 왕국으로 변모하였다. 그리고 이 섬에서 교육을 받은 수도사들이 대륙으로 파견되어 대륙을 그리스도의 영성으로 채워가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서유럽은 모든 것이 뒤떨어져있었지만 반면 이들을 동과 서에서 압박하고 있던 동로마제국과 이슬람세력은 세련된 문명의 사회였다. 이런 외적인 요인은 이 왕국을 자극하는 요소였다. 이런 자극은 메로빙거 왕조의 왕들이 교회 혹은 수도원을 통해 로마적인 요소를 끊임없이 발견하여 왕국의 체제에 적용하기를 요청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결과 메로빙거 왕조는 서서히 서로마제국 멸망 이후 잊혀졌던 로마문명의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이 토대를 배경으로 샤를 마뉴에 의해 카롤링거 왕조가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시기는 바로 찬란한 태양빛을 가능하게한 여명의 아침인 것이다. 그 희미한 빛 속에서 우리는 서유럽 중세의 기본적인 모양을 볼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