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세계사 범우사상신서 53
마르크 페로 지음, 박광순 옮김 / 범우사 / 1994년 1월
평점 :
품절


이 역사책은 아주 구성이 특이하다. 책의 첫머리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시작하니 말이다. 그리고 남아프리카의 역사의 작은 제목은 '흰' 역사이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시작이다. 어떻게 줄루족과 호사족의 '검은'역사가 백인의 역사로 착색되어가는가를 추적하면서 역사의 왜곡-지배자의 입장에서는 합리화-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런 역사는 백인들이 진출한 모든 곳에서 그대로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철저하게 이루어진 곳은 카리브해지역이다. 여기서는 백인 정복자들이 원주민을 완전히 말살시킨 다음 설탕산업을 위해 아프리카에서 흑인노예를 대량으로 이식하여 전혀 다른 세계를 만들기도 하였다. 이런 과정은 유럽의 식민지 경영국가-영국.프랑스.스페인-와 미국과 러시아 같은 곳에서 반복되었다는 점이다. 미국은 서부로의 전진을 위해 인디안을 러시아는 남쪽으로의 진출을 위해 코카서스 지역의 소수민족을 억압하고 탄압하였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 탄압의 본질은 완벽하게 감추어져 있다. 인디언과 아르메니아인의 학살은 미국사와 러시아사에서는 찾아 볼 수 없다. 마찬가지로 북아프리카를 경영했던 프랑스와 이탈리아도 이 지역에서 벌인 잔혹한 식민지 경영을 은폐하고있을 뿐이다. 이런 사정은 이 지역에 대한 서구제국의 지속적인 영향력에 의해 정당화되고 있다. 이런 사정은 서구유럽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오스만투르크와 페르시아제국의 영광을 찬양하고 있는 터어키와 이란 역시 쿠르드족을 탄압하고 있다. 즉 세력이 강한 집단은 세력이 약한 집단을 영속시켜 자국의 역사체계 속에 편입시키려는 시도를 끊임없이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세력이 약한 집단들은 자국 역사의 고유성을 강조하면서 편입을 거부한다. 즉 약소국들은 역사의 다양성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강대국들은 역사의 단일성-자국중심의 단일성을 주장한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미국의 위치, 아프리카에서 영국과 프랑스, 동남아시아에서 일본과 중국의 영향력은 자민족 중심의 역사관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므로서 다양한 세계사의 관점은 단일한 민족중심적인 편협한 역사관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세계사를 배울 때 가장 먼저 4대문명권을 배운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문명, 인더스문명과 황하문명으로 대별되는 세계사의 시작은 여기에서 수많은 문명이 퍼져나가게되고 수많은 민족이 형성된다. 이런 시작의 다양성을 배우다가 고대로 들어서면 그리스와 로마의 서양사와 중국의 동양사로 변질된다. 그리고 그러면서 문명은 자민족 중심의 역사에 꾀맞추는 작업이 진행된다.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는 이런 서구사상의 가장 집대성된 저작이라 할 수 있다. 세계를 몇몇 문명권에 꾀맞춤으로서 소수민족 혹은 약소국의 역사는 강대국 혹는 다수민족의 역사 속으로 편입되고 말기 때문이다. 이런 굴절된 시각을 교정하기 위해 이 책은 저술되었다. 하지만 유엔의 5대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포기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세계 평화를 논하는 한 진정한 세계사는 결코 존재하지 않을 것이란 절망감이 드는 것은 무슨 연유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