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양 중세 문명 ㅣ 현대의 지성 65
자크 르 고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서양 중세에 관한 책으로 요한 호이징가의 <중세의 가을>을 읽었을 때가 생각난다.제목이 그래서였을까, 아니면 책의 내용 때문이었을까. 어떤 쓸쓸함과 비장함이 느껴졌었다. 그래서 호이징가의 책을 읽어나가는 속도가 아주 느렸던 기억이 있다. 그런 반면 쟈크 르 고프의 <서양 중세 문명>은 호이징가와는 다른 느낌, 밝은 느낌과 경쾌함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이 책은 아주 쉽게 읽어 나갈 수 있었다.
이 책이 쉽게 읽힐 수 있었던 이유는 저자가 중세의 거의 모든 주제들을 아주 짧막하게 기술하고 있다는 점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 책은 저자가 지금까지 저술했던 방대한 자신의 책들을 축약해서 합본해 놓은 느낌이 들 정도였다. 방대한 저술의 핵심만을 알기 쉽게 우리에게 알려줌으로서 깊이보다는 재미를 느끼게 하려는 것이 저자의 의도가 아니었을까. 그러면서도 그 압축된 지면 속에서 중세의 모든 것을 한번씩은 집고 넘어가는 섬세함이 놀라울 뿐이다. 이 책은 중세를 알고자하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입문서이면서 참고서이고 자료집이 될 수 있을 정도로 내용이 넓은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며 그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중세의 기술문명을 인터넷 상에서 검색해보고 그 엄청난 중세의 기술문명을 효과적이면서도 알기 쉽게 압축한 저자의 박학함과 정밀함은 감탄스러울 정도이다.
중세는 전통과 다가오는 새로움 사이에서 자신의 진로를 모색하던 고민의 시기이면서 무엇인가를 분출하는 시대였다. 물론 중세의 이런 역동성은 교회나 세속의 권력에 의해 꺽이기도 하고, 어떤때는 이를 넘어서기도 하면서 근대를 잉태하고 있었다. 중세가 잉태한 근대는 중세가 암흑이라는 사견과 결합한 사생아가 아니었다. 중세가 잉태한 근대는 고대로부터 이어져온 전통의 집합체이면서 전달체였다. 중세는 고대와 근대 사이에 독립적으로 구성되었던 인위적인 시대가 아니었다. 중세에는 고대의 전통이 근대에는 중세의 전통이 삶의 일부로 스며들어 있었다. 그 전통의 이어짐을 얼마나 이해하느냐에 따라 역사의 이해도는 결정되는 것이다. 중세를 역사의 단절된 시각으로 바라볼 때 중세의 정확한 모습은 드러나지 않는다. 사실 중세는 각 부분을 구성하는 지체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거대한 몸체를 이뤄나가는 종합적인 시대인 것이다. 이런 역사적 모습을 통해 중세시대에 대한 우리의 편견이 다시 한번 재평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 편견의 파편 속에는 바로 근대 유럽이 아니 현재의 유럽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과 함께 인간의 내면을 통해 중세를 고찰한 호이징가의 <중세의 가을>도 읽어 본다면 더 깊은 느낌을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르 고프의 장기적 중세란 중세의 시기가 르네상스로 종결된 것이 아니란 것이다. 중세적인 요소들이 그 이후에도 계속 존재했왔음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영국에서 중세적인 요소가 완전히 없어진 것은 1930년대이다. 그리고 프랑스에서도 혁명을 통해 사회가 변혁될 때까지 중세적 요소는 존재하고 있었다. 독일의 경우도 일차대전의 패배 전까지 중세적 요소가 사회의 한 요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