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크로드 이야기 ㅣ 이산의 책 19
수잔 휫필드 지음, 김석희 옮김 / 이산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노만 켄터의 <중세 이야기>가 왕이나 주교 혹은 공주와 같은 역사의 주체를 주인공으로 삼은 이야기라면 수잔 휫필드의 <실크로드 이야기>는 역사속에서 사그라져간 평범한 인간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이야기의 전개 속도는 느리지만 삶에 대한 진솔함이 책의 곳곳에 뭍어나고 있다. 고비사막과 타림 분지의 타클라마칸 사막을 아우르고 있는 실크로드는 이름처럼 그렇게 아름다운 길은 아니었다. 오히려 서유기에 나오는 화염산과 비슷한 이미지를 풍기는 곳이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내내 영화 <龍門客棧>의 황토바람이 떠올랐다. 그 건조한 바람 소리와 황량함은 실크로드의 이미지와는 너무도 상이하지 않은가?
사실 실크로드의 중심지였던 이곳은 20세기 서구 열강의 침입으로 수많은 문화재가 약탈당함으로서 비로소 알려지기 시작한 곳이었다. 그전까지 이곳은 과거의 영광을 간직한 채 역사 속에서 사라져버린 곳이었다. 이곳의 역사가 재구성될 수 있었던 것은 서구의 약탈로 가능한 것이었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은가. 이 결과 이곳은 교역의 중심지 혹은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역할이 하나씩 드러나게 되었다. 그러므로서 잃어버린 역사의 한 부분을 복원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실크로드의 전성기는 唐제국의 시기였다. 특히 綠. 褐. 藍 삼색의 唐三彩로 대표되는 당시의 예술품은 서역의 기술이 어떻게 중국적으로 녹아들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문명교류의 유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탈라스 전투 이후 당의 지배력이 이 지역에서 쇠퇴하면서 실크로드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한다.
실크로드 이야기는 영광의 이야기라기 보다는 삶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장안으로 돈을 벌기 위해 사막의 길을 건너오는 소그디아의 무용수 이야기는 지금의 시각으로 비춰보아도 결코 시대적인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이다. 과부 아롱의 이야기는 한 여인이 실크로드속에서 어떻게 삶을 영위해 나갔는지를 냉정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런 모습을 통해 실크로드가 문자 그대로의 비단길이 아니라 삶의 땀으로 얼룩진 길이었음을 저자는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 잊혀진 세계를 다시 우리의 눈 앞에 드러내 보였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이 책에 나오는 주인공들의 삶은 충분히 보상받았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