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살에의 초대 - 엘리스 피터스 추모소설
맥심 재커보우스키 엮음, 손성경 옮김 / 북하우스 / 2003년 2월
평점 :
캐트펠 수사 시리즈의 엘리스 피터즈의 추모소설집이란 제목을 보고 느낀점은 후배나 동료들의 존경심이었다. 약간의 틈만 있으면 부셔대는 우리의 사정과는 약간 다른 그들의 정신세계는 어떤 면에서는 부럽기 조차 하였다. 얼마전에 관촌수필의 이문구선생이 돌아가셨을 때 많은 문인들은 그의 죽음이 우리 문단의 큰 손실이라고 했지만 그분을 위해 "관촌 기행"이라는 제목 정도의 추모작품집이 나왔어야하지 않았는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각설하고...
엘리스 피터즈 여사는 추리소설의 영역을 하드 보일드가 판치는 현대에 고정시키지 않고 중세로까지 연장한 작가이다. 중세의 탐정이란 우리의 현대적 감각에서 본다면 엉성할 것 같지만 피터즈 여사는 캐트펠이란 훌륭한 인물을 창조하여 가톨릭 신학과 철학에 입각한 관용적인 탐정을 만들어 내는데 성공하였다. 물론 여사 이전에도 체스터튼이 브라운 신부 시리즈를 통해 토미즘에 입각한 신부탐정을 창조한 예가 있으니 그리 희귀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브라운 신부도 당시로서는 현재를 그린 소설이었다. 그러나 엘리스 피터즈 여사는 중세로 시선을 돌린 것이다. 바로 이것이 여사의 선구적인 시각이라 할 수 있다. 여사의 캐트펠 시리즈로 인해 다른 작가들은 시대에 구애받지 않고 그리스. 로마 시대로까지 탐정소설의 영역을 넓혔을 뿐 아니라 그 탐정소설을 빌려 하나의 사회사를 훌륭하게 완성시키는 작품들이 나올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이 추모집은 이런 여사의 공적을 추모하기 위해 참여한 작가들이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에 걸쳐 다양한 탐정들을 등장시켜 사건을 해결하고 있다. 각 시대의 탐정들은 그 시대의 일상을 통해 사건을 해결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사건의 해결이 그 시대의 사고방식을 배경으로 추리를하여 해결한다는 점이다. 인간의 사고는 항상 그 시대의 사상이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추모집은 탐정 소설의 형식을 빌린 추리의 변천사라고 해야할 것이다. 이 추모집은 아가사 크리스티나 페트리샤 콘월, 혹은 프레드릭 포사이스를 읽은 사람이라면 약간은 무미건조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추모집은 흥미가 아니라 작가들이 자신들이 생각한 한 시대의 모습을 정확하게 그리면서 그 시대의 한 면을 추리를 통해 보여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의도를 파악하고 읽어간다면 엘리스 피터즈 여사의 영역확장이 추리소설사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