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디와 마틴 루터 킹에게서 배우는 비폭력
마리 아네스 꽁브끄. 귀 들뢰리 지음, 이재형 옮김 / 삼인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90년대 공산주의가 몰락하자 지구촌의 사람들은 이제 핵공포로부터 벗어났다는 사실에 안도하였다. 이제 예레미야의 예언대로 온 세상은  '칼을 녹여 보습을 만들고, 창을 녹여 낫을 만들게'되는 날이 왔다고 즐거워하고  '양과 사자가 한 울타리에서 놀고... 계곡이 솟아오르고, 산이 무너져 평지가 되는' 시대의 첫장이 열렸다고 기뻐하였다. 하지만 사람들의 이런 생각은 지구촌 곳곳에서 벌어지는 검은 테러, 백색 테러에 의해 비웃음을 당하고 있다. 세계는 진정한 평화를 이룰 수 있는 문턱에서 오히려 더욱더 심한 대립의 장으로 함몰되어가고 있는 느낌이다.

왜 이런 악순환이 계속 되어야 하는가. 무엇이 문제이기에 세계는 점점 더 혼미한 속으로 걸어가고 있는가. '위대한 영혼' 간디는 이런 사회는 '원칙이 없는 정치, 노동이 없는 부, 의식이 없는 쾌락, 인간이 없는 지식, 도덕관념이 없는 거래, 인류가 없는 과학, 희생이 없는 신앙'이 범람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간디는 이런 '일곱가지 사회적 악'에 우리는 반기를 들어야 한다고 설파하였다.

이 책은 비폭력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비폭력이란 무엇인지를 간디와 마틴 루터 킹의 삶을 통해 알려주고 있다. 두 사람의 삶은 평범한 삶이 아니었지만 그들이 이 삶을 택하기 까지의 삶은 정말로 평범하였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하지만 두 사람 모두 어느 한 순간 의식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통해 변모하였다. 마치 이 모습은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가 어느날 한 순간에 모둔 것을 버리고 신에게 귀의한 것과 같은 전환이라고 밖에는 표현할 수가 없다.

간디와 킹 두 선구자는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은 비폭력이지만 이것은 손쉽게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잘 알고 있었다. 비폭력은 비굴, 열등, 순종이 아니라 당당함이며 평등함이고 도전이란 사실이다. 이를 얻기 위한 방법은 온 몸으로 부딪히면서 싸워나가는 것이어야만 했다. 그 싸움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처럼 승부가 이미 정해진 것처럼 보일지라도 포기해서는 안되는 싸움인 것이다. 왜냐하면 이 싸움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쟁취의 투쟁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 싸움에는 무기가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필요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개개인의 '불굴의 용기'뿐이다. 이 용기는 포용이라는 거대한 샘에서 솟아나오는 불사의 넥타르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