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아리엘 골란 지음, 정석배 옮김 / 푸른역사 / 2004년 6월
평점 :
품절
어떤 책을 읽으면서 '이 사람은 여기에 미쳤기 때문에 이런 책을 냈구나'라는 생각을 갖게할 때가 있다. 이 책의 압도적인 부피는 그런 생각을 하기에 충분한 이유가 되었다. 오래 전, 87년으로 생각되는데, 민음사에서 대우학술총서 23권으로 나온 황용훈 교수의 '동북 아시아의 암각화'란 책을 보고 선사시대의 문양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적이 있다. 그리고 꽤 많은 시간이 흐른뒤에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인 아리엘 골란은 선사시대의 문양을 수집하고 분류하는 작업을 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보이는 서로 흡사한 상징적 무늬와 신화적 모티브는 다중심적으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공통의 연원을 가진 것으로, 그 연원은 바로 구석기시대에 생성된 신화속에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물론 골란 교수의 주장이 100% 옳은 것은 아니지만 그의 이런 주장 또한 선사시대에 대한 우리 이해의 폭을 넓혀준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것이라 하겠다.
골란 교수는 28장에 걸쳐 선사시대의 모든 문양의 형태를 조사하면서 구석기 시대의 상징 속으로 우리를 끌고 들어간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주장에 대해 많은 융통성을 두고 있다. 그는 자신이 해석을 시도한 상징에 대하여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해독' '개연성이 있는 해독' '제안 수준의 해독'으로 구분하였고 몇몇 상징은 아직 해독하지 못했음을 후기에서 고백하고 있다. 이런 그의 학자적 개방성은 이 책을 하나의 주장이 아니라 여러가지 주장을 대비하며 사유하게끔하는 여유를 우리에게 제공한다.
오랫만에 정말로 대단한 책을 만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그리고 이런 책을 출판한 출판사 역시 크나큰 격려를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