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시로 본 중세유럽 (반양장)
에디트 엔넨 지음, 안상준 옮김 / 한울(한울아카데미) / 199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1000년 경 중세 유럽에서 15000명 이상이 거주하는 도시는 무어인들이 지배하는 이베리아반도의 세빌리야, 톨레도와 시칠리아의 팔레르모 정도였다. 이보다 더 큰 규모의 도시는 서유럽에는 없었고 다 아랍의 세계에 있었다. 1200년경이 되어서야 서유럽에는 도시가 서서히 드러나기 시작한다. 이때 베네치아가 대략 2만에서 5만 사이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2만명 규모의 도시로는 이탈리아의 피렌체와 플랑드르 지방의 겐트, 잉글랜드의 런던, 프랑스의 파리, 이탈리아의 로마가 이름을 내밀기 시작하였다. 유럽에서 도시의 시대가 열리기 시작하는 것은 한참 후인 14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부터이다. 유럽은 중세시대 전반에 걸쳐 도시라고 부르기에는 너무도 초라한 도시만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중세시대는 대영주 혹은 영주의 장원을 중심으로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자급자족의 체제였다. 도시의 발달이 미약한 관계로 사람들이 장원을 벗어나서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격어야만 했다. 실제로 중세시대에 있어서 가장 가혹한 처벌은 파문에 이은 공동체로부터의 추방이었다. 이는 한 개인이 공동체를 벗어나서는 사실상 소외될 수 밖에 없는 환경구조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중세 고립된 장원과 장원을 중세의 고립적인 장원과 장원을 연결해 주는 것은 정기적으로 열리는 교역이었다. 이른바 교역시들이 장원과 장원 사이의 빈 공간을 연결해 주는 고리 역할을 하였다. 교역시는 대부분 강과 강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었다. 교통의 요지에 설치된 교역소는 얼마안가서 왕과 귀족들에게 상당한 이익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결과 왕과 귀족들은 교역소에 일정한 건물을 세우고 교역시를 자신의 통제권 안에 두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상인들이 더 많이 모여들어 자신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바치도록 하기 위해 교역시에 많은 특혜를 주기 시작하였다. 이 교역시들이 점차 확대되면서 하나의 도시로 발전하게 된다. 하지만 중세 중기까지 유럽의 도시발전이 미미한 것은 그만큼 아랍세계가 동방과의 무역을 독점하고 있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유럽에서 도시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는 것은 십자군 운동이 끝나는 시점이라고 볼 수있다. 동방과의 전쟁을 통해 무역의 노하우를 배운 유럽은 동방을 거치지 않고 자체적으로 무역로를 개설하고자 하였다.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발트해에서 러시아를 거쳐 초원의 길로 연결되는 루트였다. 이 결과 동방과의 무역으로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 발전되던 도시가 북유럽으로 확장되는 결과를 얻게된다.
도시가 확장되면서 농촌과 도시의 공간적인 심리적 거리가 점점 좁혀지기 시작했다. 이 말은 장원의 자급경제가 서서히 붕괴되기 시작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장원은 더 이상 자급자족의 체제로 머물러 있을 수 없었다. 도시와 장원경제의 상호의존이 확대되면서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집중이 시작되었다. 도시는 이전부터 원칙적으로 '일년하고 하루'만 더 머물면 어떤 사람에게도 시민권을 부여하였다. 이런 도시의 관대함은 많은 농노들이 도시로 탈출하게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 결과 장원경제는 급격하게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마침내 도시의 자유로운 공기가 중세의 시대를 서서히 마감시키고 있었다. 이제 도시를 중심으로한 새로운 부르조아 계급이 탄생하면서 근대로 유럽은 달려가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 책은 도시의 발전과 팽창이 어떻게 중세의 구조를 근대적인 것으로 바꾸어가는가를 추적하는 책이며, 중세 도시 기능을 알 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중세 도시에 관한 책은 이외에도 앙리 피렌의 책이 나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