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시록의 사기사
E 펜체프 / 평민사 / 1988년 8월
평점 :
절판


성서의 기록에 따르면 인류의 종말이 다가오는 징표로 말을 탄 네 기사가 나타난다고 하였다. 그 기사들이 상징하는 것은 정복, 전쟁, 굶주림, 죽음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묵시록의 기사는 공해, 가난, 기아, 폭력이라고 본 저자는 제시된 문제에 대한 지식의 폭을 넓히고 자극하기 위해 이 책을 기술했다고 서문에서 고백하고 있다. 이 책은 한사람의 저술이 아니라 각 분야에 정통한 학자들의 논문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책의 전후에 상관없이 자신이 흥미를 갖는 분야부터 읽어도 별 문제가 없다.


인간의 4대 문제인 공해, 가난, 기아, 폭력의 문제는 한 지역,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다. 이 문제는 지구라는 단 하나의 터전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기에 전 인류의 관심사가 되어야만 한다.


공해문제만 해도 그렇다. 우리의 이웃에는 세계의 공장으로 변해가는 중국이 자리잡고 있다. 중국에서 한국으로 부는 이동성 고기압은 중국의 공해물질을 우리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우리만 아무리 공해대책을 세운다해도 중국과 공조가 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을 것이다. 60-70년대의 공해의 주범은 대기 오염이었다. 대기오염은 공장의 굴뚝이나 자동차에서 나오는 것으로 선진국의 책임이 컸었다. 하지만 현재는 개발도상국까지 여기에 합세함으로서 대기오염을 규제하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게다가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은 70년대 이후 농업생산량을 증대하기 위해 과도한 화학비료를 사용함으로서 토지오염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것은 후진국형 공해의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이렇게 공해는 시간이 흐르면서 전지역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어떤 것일까?  한 예로 선진국들은 브라질과 인도네시아의 과도한 벌채를 비난하고 있다. 이들은 이 벌채로 인하여 지구의 대기 오염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본다. 하지만 브라질과 인도네시아는 자신들의 행위가 바로 선진국들이 현재의 위치에 오르기까지 했던 과정임을 항변하고 있다. 어느쪽이 옳을까?


가난의 문제는 부의 분배와 직결되는 예민한 문제이다. 분배는 잘못 이해될 때 산을 깍아 골짜기를 메워 평지로 만드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다. 이것은 분배가 아니라 약탈인 것이다.  분배란 그 분배를 통해서 사회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고점으로 끌어올리는 하나의 자극제와 같은 것이다. 발전의 잠재력을 극대화 시키는 분배라는 자극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가난의 모습은 변할 수 있다. 가난이란 벗어날 수 없는 질곡이 아니라 노력에 의해 언제든지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이 보여야만 진정한 분배의 사회가 되는 것이다. 가난과 함께 찾아오는 것이 굶주림이다. 굶주림과 가난은 위정자들의 실책으로 유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 예로 동남아 최대의 쌀 생산국이던 미얀마가 네윈의 사회주의정책으로 말미암아 한때 쌀 수입국으로 변모했던 사실은 정책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일깨우게 한다. 굶주림과 가난이 만연하는 사회는 결코 안정될 수 없다. 왜 농업국인 제3세계의 국가들이 항시 식량부족으로 고통을 당하는가는 위정자들이 깊이 숙고해보아야 한다.  그것은 자연재해보다는 인재의 성격이 짙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서 자신의 의지를 가장 확실하게 관철시키는 방법은 폭력이다. 그만큼 폭력의 유혹은 달콤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폭력이 국가를 중심으로 조직적으로 행해질 때 그것은 인간성에 대한 억압이 되고 압제가 되는 것이다. 폭력은 항상 수단이 목적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생각할 때 자행되는 것이다. 폭력이란 육체적인 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모든 것에 해당되는 것이다. 폭력이 조직화되면 그 폭력의 희생자는 언제나 무고한 민간인일 수밖에 없다. 아르헨티나의 군사정권시절 '추악한 전쟁'의 희생자들은 모두 민간인들이었다. 즉 폭력의 희생자는 외부의 적이 아니라 내부의 적이라고 규정된 사람들을 향하는  것이다. 구금, 고문, 사형은 국가가 개인에게 저지르는 가장 추악한 범죄인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4가지의 해악이 우리를 어떻게 옭죄고 있는가를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을 널리 알림으로서 그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는 과거형이 아니라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논문들이 70년대 이전의 것이기에 지난 30여년간 축적된 이 분야의 업적을 고려하며 읽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지금이나 그때나 변함이 없다는 사실 또한 놀라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