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디워칭: 신비로운 인체의 모든 것
데즈먼드 모리스 / 범양사 / 198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마에서부터 다리에 이르는 순서대로 인체의 모든 부분을 자세하게 설명한 이 책을 보면 마치 사진으로 읽는 구약성서의 <雅歌書>와 같은 느낌을 준다.  목차의 순서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시선을 따름으로서  남성인 저자가 여성을 보는 시선과 일치시키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인간의 신체 각 부분을 하나씩 훑어 내려가면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설명을 보완해 주는 풍부한 도판은 부차적인 자료구실도 한다. 책을 읽다보면 인간의 몸은 철학자들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小宇宙>라는 사실을 절감하게 된다. 각각의 부분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그 독립적 구성은 전체의 완벽한 부분으로 기능하고 있다. 전체속의 부분과 부분 속의 전체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몸은 그 자체로 신비인 것이다. 인체를 육체적인 면으로만 본다면 완벽한 <기계적 우주관>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 이 완벽한 기계적인 기관에 신의 입김인 영혼이 들어 앉음으로서 정신과 육체가 조화된 완벽한 우주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데스몬드 모리스는 영혼의 인간을 파악하지 않는다. 생물학적인 인간을 파헤침으로서 오히려 정신적 인간의 모습을 부각시킨다.


데스몬드 모리스는 인간 신체의 각 부분을 설명하면서 각 부분을 사회성과 연관시키고 있다. 이는 저자가 <털없는 원숭이> 이래로 추구했던 몸의 움직임과 내적 욕구의 반영 사이의 관계를 다시 한번 파헤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우리 인간은 선사시대의 인간이나 지금의 인간이나 별 차이가 없으며, 기본적인 행동 역시 그때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모리스는 이를 위해 그의 다른 책인 <맨워칭>에서 원시부족의 행태와 현대인의 행태 행위의 유사성을 비교함으로서 실증해 보이기도 하였다. 그는 선사시대와 현재를 살펴보면 그 과정의 명칭만이 바뀌어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예를 들면,  사냥충동은 노동윤리로, 먹는 차례는 계급투쟁으로, 짝짓기는 결혼으로,  부족의 동일성은 문화유산으로,  타종족과의 족외혼은 근친성교금지로 표현되고 있다고 본다. 이런 유사성은 오지의 원시부족에서 맨하탄의 뉴욕커에 이르기까지 동일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런 것으로 볼 때 인류는 인종.성별에 의해 차별되는 존재가 아니라 동일한 존재라는 것을 저자는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