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건축사 ㅣ 세계건축의 역사 시리즈 4
이무희 외 / 세진사 / 199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도시의 골목길을 돌아다니다 보면 국적불명의 집들을 가끔 만나게 된다. 한옥처럼 장중한 맛도 없고 양옥처럼 단아한 모습도 아닌 어정쩡한 그러면서도 왠지 익숙한 그런 집들을 보게 된다. 이른바 적산가옥, 또는 일제 식민지시대에 지어진 집이다. 나 역시 어린 시절 한옥도 양옥도 아닌 어정쩡한 집에서 자란 기억이 있다. 이런 집의 특징은 벽장이 무척 낮게 위치해 있고 마루가 집안을 돌아가며 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겉만 보면 잘 모르지만 안으로 들어가 보면 영락없는 일본식 집 스타일의 집들. 지금도 이런 집들이 우리 주위에 꽤 있다는 사실 놀랍지 않습니까?
이런 호기심이 자연스레 이 책을 구입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예상외로 상세한 내용에 놀라고 말았다. 우리는 경복궁을 복원하는데 제대로된 도면 조차 없어 사진을 참조한다느니 규장각 도서를 뒤져보아야 한다느니 야단법석을 떨고 있는 사실은 기록의 중요성을 새삼 느끼게 한다.
여기서 일본의 건축 역시 신라.고구려.백제 삼국의 영향을 받았다는 일반적인 이야기는 생략하고자 한다. 다만 그들의 건축은 우리의 양식을 받아들였지만 자신들의 사회.경제. 정치.자연의 상황에 맞춰 변형되었다는 사실만을 지적하고자 한다. 한국의 집은 지역에 따라 일 자. 니은 자, 입구 자로 대별된다. 그리고 세부적으로 보면 행랑채, 안채, 사랑채로 나뉘어 진다. 그러나 일본의 집들은 기러기가 날아가는 형식의 집을 고수하고 있다. 한 예로 호소가와細川가문의 저택 그림을 보면 동북쪽에서 서남쪽으로 비스듬하게 가옥이 배치되어 있는 형식이다. 이런 집들이 한국에 건너와서 가운데 본채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 끝에 조그만 부속건물을 배치하는 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형태의 일반 주택은 거의 다 적산가옥이라고 보면 된다. 또 다른 일본 건물의 특색은 다다미라는 바닥 구조이다. 다다미는 방의 크기에 따라 다다미 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건물과 건물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구실을 한다. 전통적 일본 가옥은 미닫이 문의 개폐에 따라 방의 크기가 유동적으로 변한다.
이런 것 이외에도 이 책은 일본 건축의 대표적인 건물을 자세하게 해설하고 있다. 물론 일본의 저자들은 이런 방식이 자신들의 문명적 우월성이라고 은근히 자랑을 하지만 그 원천에 대해서는 입을 다물고 있다. 일본인들의 책을 읽다 보면 언제나 자신들이 이루지 못한 것은 중국에서 받아들였다는 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한국이란 나라가 자신들의 생각에는 아직도 작게 보이는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으며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란 일본인이 생각난다. 그는 조선의 단순미에 반한 일본인이었다. 그는 일본이 한국을 무력으로 식민지화했을 때 부터 조선의 목공예품과 도자기에 대해 철저한 연구를 한 사람이었다. 그의 목적은 한국적인 미를 어떻게하면 일본이 이용할 수 있는가에 집중되었다. 그의 이러한 연구는 아이러니하게도 가장 한국을 잘 이해하는 일본인이란 칭호를 얻게하였다. 그의 이러한 연구는 일본의 단순한 가구가 서구인들의 관심을 끌면서 일단 성공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일본적인 것이라고 이해될 때 우리의 문화는 자연스럽게 소멸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프랑스 파리의 중심가에 한국의 전통가옥을 지어놓았고, 옥스포드 대사전에 온돌이 on'dol이라는 고유명사로 기재된다고 하니 마음이 놓인다. 요즘처럼 침대를 일상화한 생활에서 한국적인 삶 자체는 불편한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의.식.주에서 우리의 것을 잃어버린다면 과연 우리는 대한국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