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지올로구스
피지올로구스 지음, 노성두 옮김 / 미술문화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서양의 중세시대를 공부하는 사람이나 이 시대의 종교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꼭 한번 읽어봐야만 하는 책이다. 세익스피어의 햄릿에 오필리어를 매장하는 장면 가운데 오필리어의 오빠인 레어티즈가 <자기의 피로 새끼를 키우는 펠리칸 처럼...>하는 대사가 나온다. 왜 고통의 와중에 펠리칸이란 새가 갑자기 튀어나오는가? 펠리칸은 십자가 상에서 고통을 받는 그리스도의 상징이라는 사실을 안다면 잘 이해될 것이다. 레어티즈는 여동생의 죽음을 그리스도의 고통에 비유하면서 자신의 아픈 감정을 표현했던 것이다.
유럽의 중세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그 시대의 종교인 가톨릭이며 그 다음은 가톨릭에서 사용된 상징의 세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교와 종교의 상징성을 이해하는데는 많은 인내심이 필요하다. 이 책은 이런 과정의 한 단계에서 무척이나 소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책이다.
자연을 사랑하는 자라는 뜻의 피지올로구스란 이름으로 쓰여진 이 책에는 55개의 상징물들이 들어있다. 이 상징물에는 우리가 익숙한 동물의 이름에서부터 상상의 세계에 사는 동물과 광물, 식물들이 기록되어 있다. 그 이름들은 결코 우리에게 낮설지 않다. 우리 주위에 항상 존재하는 존재들이 이런 상징성을 띠고 있다는 자체가 놀라울 뿐이다. 그러면서 우리 주변의 익숙한 대상들을 상징성으로 승화시킨 성서의 저자들의 혜안이 놀랍게 느껴진다. 이렇게 평범한 사물 속에 종교의 깊은 뜻이 담겨 있다는 것은 메테를링크의 파랑새처럼 진리는 먼 데있는 것이 아니라 항상 우리 주변에 있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