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명 교류사 연구
정수일 지음 / 사계절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정수일교수가 그동안 발표한 논문을 한데 모은 논총論叢이다. 그래서인지 그동안 쉽게 접해보지 못한 글들을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대진경교유행중국비>나 <임진왜란에 대한 중국 학계의 인식과 평가>, <중세 아랍인들의 신라 지리관>과 같은 논문들의 신선함은 이 책을 읽는 기쁨을 배가시킨다. 역사시간에 검은 오석에 새겨진 사진으로만 보아왔던 대진경교비의 초역문을 읽어 내려가는 감흥은 특별했다. 이 비는 중국으로 전파된 <네스토리우스교>가 어떻게 중국적으로 이해되어가는가를 살펴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그 당시 중국인들은 기독교 사상을 자신들의 익숙한 종교적 표현으로 기술하는 것을 볼 때 중국이란 나라가 이기적이기는 하지만 그 역사의 깊음을 인정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임진왜란에 대한 동양 삼국인 한. 중. 일의 관점을 볼 수 있는 논문에서는 중국의 입장을 잘 살펴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임진왜란의 원인이 전국을 통일한 豊臣秀吉-도요토미 히데요시-이 국내의 정치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조선을 침입했다고 보는데 반해 중국에서는 일본의 영토확장야심을 가장 주된 요인으로 보고 부차적인 요인으로는 풍신수길의 정치적 야심과 새로이 대두된 상인계급의 탐욕을 충족시키기 위한 대외확장으로 보고 있다. 중국의 이런 관점은 우리의 관점과 아주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명군의 참전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명은 조선이 붕괴되면 자국의 안전이 위험함을 잘 알고 있었기에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 조선원조를 결정하였음에도 이를 양국관계의 의리상 거절할 수 없는 도의에 의한 것으로 포장하고 있다. 이 논문은 앞으로 전개될 한국 사학계와 중국 사학계의 역사인식에 대한 차이점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읽어볼 만하다.
그밖에도 아랍에서 본 신라의 지리관이나 저자의 전공인 아랍세계에 관한 논문-특히 회회고回回考-은 이슬람 세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복식과 서역 복식간의 공통 요소>란 논문을 읽다보면 이 책의 제목 처럼 서역과 우리의 문명 교류를 실감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이질적인 두 세계가 복장에서 상관성과 근연성이 있음에도 한국적인 것이 확립될 수 있었던 것은 문화적 독자성과 고유성 때문이라는 저자의 결론은 아주 당연한 듯하지만 5천년을 외세의 압박에서 견뎌온 우리 민족의 입장에서 볼 때는 고유성과 독자성은 바로 민족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였음을 깨닫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