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키타이 동물양식
E.V.뻬레보드치꼬바 지음 / 학연문화사 / 1999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우리에게 약간은 생소한 스키타이 문명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현재 스키타이 문명에 대한 연구는 구 소련-러시아-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그 이유는 스키타이족의 활동영역이 천산북로 이북의 초원지대를 따라 펼쳐지는 유라시아 초원지대로 구 소련의 정치적 영역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90년대 이전까지는 구소련의 방대한 스키타이에 대한 연구성과를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없었다. 이러한 역사적 불균형은 국사 시간에 동물문양장식의 대구-허리띠 버클-를 공부하면서도 그 모양의 시원에 대해서는 막연히 스키타이 양식이라고 배웠다. 이때 스키타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거의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역사의 불균형을 이 책을 통해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책은 우리 역사 지식의 체계적이지 못한 토대의 잃어버린 고리를 메꾸어주는 한 부분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특희 동물양식을 전공한 저자는 스키타이 동물 문양의 연구를 통해 유목민과 농경민의 유기적인 교류를 유물의 형태분석론이란 방식을 통해 근연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하나의 원래적 형태가 각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어떻게 공통적인 면을 유지하면서 그 지역의 독자성이 가미되어 가는지를 추적하는 것으로서 유물의 상관성을 통해 문화와 문명의 전파경로를 설명할 수 있는 방법론인 것이다. 이러한 연구방식은 한국의 사학계가 직면하고 있는 일본 사학계의 아전인수식 유물해석을 반박하는 기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이러한 작업이 상당한 진척을 이루고 있다.
이 책은 그 동안 우리에게 소원했던 유라시아 초원을 지배했던 스키타이 유목민의 유물을 조명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무척 귀중한 책이다. 스키타이와 우리와의 관계를 규명하다 보면 고대사의 많은 부분을 새로운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책을 보면서 러시아의 고고학적 기초가 굉장히 탄탄한 기반 위에 세워져 있음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이는 직관보다는 사실을 중시하는 사회주의 고고학의 전통이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방법론은 감성적이며 격정적인 우리가 가져야 할 또 다른 하나의 품성이아닐까하는 생각을 해 보는 것은 나만의 부질없는 감상일까.....
부기: 책의 제목은 스키타이 동물 양식 인데 여기서는 스키다이로 나와 있다. 어느쪽의 실수 인지는 모르지만 조속히 고치기를 기대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