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 몽고 거란 여진 관계사 논고
백산학회 엮음 / 백산자료원 / 1999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 역사와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있던 동북아시아 유목민족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고구려를 곤경에 빠뜨린 선비족, 고려를 침입한 거란,여진,몽고족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이들 가운데 몽고족만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힘겹게 유지하면 살아남았다. 선비족, 거란족,여진족은 역사 속의 위대함을 뒤로 한 채 중국이란 거대한 된장 항아리 속으로 빠져들어가 삭아 없어지고 말았다. 이들의 언어는 어디에 있는가? 민족이 사라지면 언어도 사라지는 법이다.


이 책은 우리 이웃에 존재하던 북방 유목민인 선비, 거란, 여진, 몽고에 대한 논문집이다. 논문집이라도 기획된 것이 아니라 여러 논문집에서 선별하여 편집한 책이다. 그래서 안내서에도 이 700여 쪽에 이르는 방대한 책을 마지막 논문의 페이지 수인 147쪽이라고 표기해 놓았다. 그러니 이런 책을 누가 관심이나 갖겠는가?


여기서 특히 주목할 만한 논문은 김선호의 문화대혁명기의 몽중관계라는 논문이다. 몽골은 아시다피시 러시아와 중국 사이에 낀 내륙국으로 이 두 나라의 영향력은 지대하다. 몽골은 1924년 세계에서 두번째로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으로 독립하였으나 불완전한 독립이었다. 중국은 지속적으로 몽골을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하였고, 이 결과 몽골 전 영토의 반에 이르는 내몽골 지역을 합병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몽골은 분단국가이지만 내몽골의 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현재는 통일의 의지가 소멸되었다고 볼 수 있다. 몽골의 이러한 상황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면서 중국이 외몽골의 독립을 승인하면서 몽골은 비로소 중국의 영토적 확장 야심을 벗어나 독립국가로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몽골에 대한 북경이나 타이페이 정부의 원칙은 장래에 이 나라가 중국에 편입되는 것을 희망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이란 나라가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는 소수민족 국가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은 중국에게 또하나의 문제로 등장했다. 한국은 고구려의 멸망 이후 한시도 만주에 대한 끊임없는 애정이 식은 적이 없다. 이러한 애정은 현대로 오면서 민족주의와 겹쳐져 만주는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우리가 언젠가는 회복해야만 하는 땅이란 의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의식은 중국이 폐쇄적인 사회주의 국가였을 때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양국이 국교를 수교하고 상호교류가 빈번해지면서 한국인의 이러한 생각은 중국인들의 경계심을 자아내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국인의 역사왜곡인 동북공정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 책은 여러편의 논문이 합본된 책으로 한자가 많아 젊은 층들이 읽기에는 약간 불편할 수 있다. 그러나 옥편을 옆에 두고 지명과 인명의 생소함을 경험하면서 우리 이웃의 유목민족에 대해 우리의 사학자들은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좋을듯 싶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꼭 다시 출판되어 서가에 장식품으로라도 꽃혀있어야만 되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