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빈치 코드 - 전2권 세트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다빈치 코드가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시원은 멀리 갈 필요도 없다. 예수가 부활했을 때 그 모습을 목격한 사람은 남자가 아니라 여자들이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고 있다. 신약성서에는 이 여자들의 이름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지만 분명한 것은 예수가 부활했을 때 가장 처음 그를 본 사람들은 여자라는 것이다. 이 여자들의 이름은 마태오의 글에는 막달라 마리아와 다른 마리아, 마르코에는 막달라 마리아와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와 살로메, 요한에는 막달라 마리아라고 나와 있다. 다만 루가에는 여자들이라고만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바로 이 여자들은 성서에서 사라지고 그 자리를 예수의 제자들이었던 남자들-베드로, 요한-이 차지하게 된다.


여성론자들은 이러한 사정이 역사History라는 남성 위주의 기록 때문이라고 단정하기도 한다. 이들은 만약 역사가 여성 주도의 여성에 의한 여성이 기록한 여성의 역사Herstory였다면 이러한 불합리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 말의 함축성은 충분히 고려되어야만 한다. 


신화속에 나타난 여성성은 현재의 여성론자들이 생각한 것보다 더 막강한 위력을 지니고 있었다. 여성은 대지였고, 달이었으며, 생명의 시원으로서 가정의 중심이었다. 실제로 유전학에서도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은 모계를 통해서 전달되는데 이 말은 전 세계 모든 인간들의 미토콘드리아를 추적하여 거슬러 올라가면 인류의 시원에는 몇 명의 여자들이 존재한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몇 명의 여성들로부터 인류는 시작되었다는 사실은 남성에 의한 정복의 역사 속에서 여성성이 소유권적인 개념으로 바뀌면서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갔던 것이다.


다빈치 코드의 핵심은 바로 이 사실을 복원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 복원의 과정이 막달라 마리아라는 성서속의 한 인물을 통해 재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유럽인들은 이 세상의 정신사적 문명은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건방을 떨고 있다. 다빈치 코드에서는 인간중심의 헬레니즘적인 사고방식이 어떻게 남성중심의 헤브라이즘에 의해 침식당해가는가를  추적하고 있다. 저자에게 있어서 종교는 남성과 여성의 평등성을 어긋나게하는 가장 위험한 요소로 보이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종교에 의해  어그러진 여성성의 회복을 어떻게 복원하느냐에 대해서는 아직 답이 제시되어있지 않다. 그 길은 엄청 멀고 험난하기 때문일까... 아니면 아직 세상은 남성들이 주도권을 잡고 있기 때문일까? 남성의 주도권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의 해체가 필요한 것은 아닐까? 


복잡하고 우울한 몽상이지만 우리는 이 책에서 움베르토 에코를 만나기도 하고, 제임스 프레이져, 조셉 켐벨, 에스더 하딩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러한 만남은 즐거운 것이다. 이러한 만남을 통해 문화적 우위에 있다고 자부하는 유럽의 정신세계를 한번 섭렵해 보는 것도 즐거운 일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즐거운 생각의 유희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