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민족원류
손진기 / 동문선 / 1992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국의 역사로 편입시키려 하는 동북공정의 대표적인 학자인 손진기가 쓴 책이다.  저자는 여진과 실위-말갈족-역사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학자이다. 여진은 예로부터 고구려의 후손이라고 자부하는 민족으로 고구려를 계승한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섬겼을 정도였다. 그리고 실위는 우리 역사의 진공지대인 발해의 하위계층을 형성한 민족임을 생각할 때 저자의 연구가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짐작하게 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국의 역사서 뿐만 아니라 조선실록이나 삼국사기와 같은 한국의 역사서도 심도있게 연구하여 청 이후 중국의 역사에 정식으로 포함된 만주지역의 역사를 자국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있다.


만주는 청나라가 중국을 정복하기 전까지 한국과 중국이란 나라의 가운데에 위치한 중간지대의 성격이 컸다. 중국에서는 이 지역의 유목민족이 한 지도자의 손 아래 통일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강력한 군대를 주둔시키는 한편 이이제이의 전략을 구사하였다. 즉 약한 부족을 지원하고 강한 부족은 분열시키는 정책을 시행하여 상당한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 결과 만주지역은 원이 물러나고 청이 건국될 때까지 약 150여년간 분열된 지역으로 남아있을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선과 일본의 임진전쟁에 명이 만주지역의 통제를 담당하던 군대를 조선으로 차출하여 출병시키면서 여진족이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여 명을 붕괴시킬 수 있었다. 이후 만주지역은 청의 건국이 이루어진 성지로 인식되었다. 반면 조선은 이 지역을 군사적으로보다는 식민정책을 통해서 꾸준히 압록강과 두만강 이북으로 영토를 확장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정은 명이 붕괴되고 청이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으나 조선이 일본에 합병되면서 조선의 만주로 향한 영토의 확장은 중단되었다. 오히려 일본과 중국 사이의 협약으로 그동안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던 만주지역의 영토-북간도와 서간도-를 잃어버리는 상황이 되었다. 이러한 사정은 해방후 남북이 분열되고 중국에서는 공산당 주도의 정권이 형성되고, 한국동란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만주의 역사는 잃어버린 역사가 되고 말았고 그 땅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고증이 빠진채 막연히 고구려의 땅이란 감상적인 방법으로 접근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한국의 감상적인 접근은 중국이 개방화되면서 마찰을 빗게되었다.


당시 중국은 개발도상의 후진국가였고 한국은 선진국의 문턱에 진입한 상태였다. 경제력은 곧 힘인 상태에서 한국의 관광객들이 백두산으로 몰려들면서 국수적이고 민족적인 발언을 함으로서 중국을 자극하였다. 이 결과 중국은 역사의 조작과 합병을 통해 한국의 감정적 문제의식을 학문적으로 대응하려 하였다. 이것의 종합편이 2000년대 초반에 터져 나온 고구려사의 자국역사 편입이란 동북공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주도하는 학자 중의 하나인 이 책의 저자는 이 지역의 민족 문제를 심도있게 다루면서 이 지역이 옛부터 중국의 중앙정권의 지배하에 있었다는 것을 끊임없이 지루하게 반복하고 있다. 이것은 이 지역의 역사적 권한과 실체가 그만큼 허약하다는 반증이면서도 무주선점의 기회라는 이야기도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솔직히 동북민족원류라는 책은 읽기 쉬운 책은 아니다. 민족의 이름이 끊임없이 나오고 같은 부족의 이름이 시대마다 다르게 나오기 때문에 집중력을 갖지 않고는 소화하기가 힘들지만 중국이 무엇때문에 1973년에 이 책을 내고 다시 1993년에 개정판을 내었는지를 생각해야만 할 것이다. 역사는 자부심을 갖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역사에 대한 관심과 그것에 대한 앎이 중요하다. 중국인의 만주에 대한 관심을 알고 그것에 대응하는 가장 기초적인 것은 그 땅에 누가 살고 있었고 그들은 현재 어떻게 되었는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중국인들의 속마음을 알 수 있는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