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대로부터의 비망록 패러독스 12
율리우스 푸치크 지음, 박수현 옮김 / 모티브 / 200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오 분 후면 시계는 열시를 알릴 것이다. 1942년 4월 24일, 아름답고 따스한 봄날 저녁이다>로 시작되어 <종막의 커튼이 올라간다. 나는 여러분 모두를 사랑했다, 친구들이여. 몸조심하시오! 1943년 6월 9일 율리우스 푸치크>로 끝나는 별로 두껍지 않은 책이 나의 마음을 두드린다. 그 울림은 새벽 절 간에서 스님들을 깨우는 북소리처럼 아주 미약하게 시작되어 점점 큰 소리로 마음의 문을 두드린다. 그 두드림은 나에게 이렇게 말한다. 깨어나시오, 깨어나시오.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깨어나시오. 또 새로운 날이 시작되었소.


체코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무엇인가? 버드와이저로 알려진 맥주의 고장 부드바이스-현재의 지명은부데조비키-일까? 아니면 영화 새벽의 7인에서 보여준 꺽일 수 없는 장열한 모습일까? 그렇지 않으면 코스타 가브라스 감독이 만든 <고백>이란 영화의 무기력함일까?


여기에는 한 사람으로 대표되는 한 민족의 저항이 담겨져 있다. 나치라는 거대한 악에 대항한   왜소한 인간의 모습이 결코 약해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독재자 요십 비싸리오노비치 스탈린은 그의 비서인 삐아따꼬쁘 돔무에게 물었다. <동지, 당신은 1개 사단의 병력과 탱크와 전함, 비행기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가? > 삐아따꼬쁘는 <서기장 동지 그것은 불가능합니다. 인간의 능력으로는 절대 불가능합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비싸리오노비치동지가 이렇게 질문한 이유는 <개인은 체제의 무게를 온 몸으로 저항하기에는 너무 무력하다는 것을 암시>한 것이다. 그럼에도 왜 역사 이래로 수많은 사람들은 체제의 무게를 극복하기 위해 투쟁했는가? 그것은 가장 단순한 단어 때문이다.

<자유.>

물리적 강제력은 신발 속의 발가락을 움직이게 하는 두뇌를 통제할 수 없기  때문이리라.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은 정치적인 동물이라고 정의한 훨씬 전부터 절대권력에 대한 저항은 있었다. 율리우스 푸치크 역시 자신이 왜 거대한 절대권력에 저항하고 투쟁해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인간성을 말살하는 나치즘의 유해함을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 그리고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어느 누구도 방관자일 수 없는 무대의 주연이기 때문에 나온 당연한 귀결이었다. 이것은 온실속에서 비판하는 나약한 자유가 아니다. 광야에서 울부짖는 투쟁의 자유인 것이다.  율리우스 푸치크의 영혼 앞에 그가 추구한 혁명은 이미 스러졌지만 인간 내면의 혁명은 계속 되고 있다는 말을 전해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