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력과 은총
시몬느 베이유 지음, 윤진 옮김 / 이제이북스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학생시절 이 책을 처음 접했었다. 그 당시 유행하던 문고본으로 나온 책이었는데 제목이 너무 심오해서 무작정 집어들었었다. 그리고 책 표지 안쪽으로 안경을 쓴 조그만 여자-상반신 사진이었는데 그렇게 느껴졌다-가 작업복 비슷한 옷을 입고 있었다. 시몬 베유라는 여성을 처음 만나는 순간이었다. 첫번째 쪽에 이 세상은 모든 것이 중력이 지배하지만 오직 하나의 예외가 있는데 그것은 은총이라는 구절을 보았을 때 순간 떠오른 것이 수평축과 수직축이 교차하는 십자가였다. 인간의 사랑과 신의 은총의 하강, 우리 마음의 상승이라는 단순한 도식의 십자가가 아니라. 그 교차점이 떠올랐다. 그 교차점은 은총과 중력의 무풍지대, 즉 격렬함이 들이닥치기 전의 태풍의 눈과 같은 곳이란 생각이었다. 그곳에 그리스도가 못박혔고, 그곳에서 수용과 반발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나는 시몬 베유의 심오함을 다 이해하지 못한다. 그 짧은 단상 속에 얼마나 많은 고뇌와 사색과 고통이 들어있을까? 왜냐하면 시몬 베유는 파스칼이 말한 지구를 멸망시킬 수 있는 우주의 물방울과 같은 존재가 아니라 행동하는 인간이었기 때문이다.
그녀가 말하는 중력과 은총은 무엇이었을까? 밑으로 하강하는 중력의 성질과 사방으로 스며들고자 하는 은총은 결코 화합되거나 어울리지 못할 것처럼 보인다. 중력은 지상에서 느끼지만 결코 우리가 의식하지 않고도 살아갈 수 있다. 은총 역시 시공간의 역사 속에서 처음 부터 있었지만 그것을 우리는 결코 의식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시몬 베유가 느낀 중력과 은총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었을까?
그 당시 문고본의 여백에는 "신의 하강(중력)과 은총의 상승(부활 혹은 구원)...?"이라는 히미한 글씨가 남아있다. 그것은 아직 미숙한 한 사람의 사고의 시발점이 아니었을까? 신과 인간을 엄격히 구분하는 정통적인 이해에서 지금은 얼마나 변했을까? 신이 인간이 되었다는 사실과 그 인간이 삶을 마감하고 중력의 법칙을 거슬렸다는 그 사실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을까? 오로지 중력이라는 입장에서 은총을 이해하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은총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잊은 것은 아닐까?
중력과 은총의 접점은 두려움일까 아니면 경외감일까. 그곳에서는 여전히 "엘리, 엘리, 라마 사박타니..."라는 소리가 들려온다. 그것은 울분도 탄원도 아닌 한 인간이 고독한 부르짖음이었다. 중력과 은총의 중간지대는 그만큼 고독한 장소인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아무도 그곳을 감히 꿈꾸지 못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