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국의 시선 - 일본의 자유주의 지식인 요시노 사쿠조와 조선문제
한상일 지음 / 새물결 / 2004년 8월
평점 :
"제국의 시선"은 吉野作造(요시노 사쿠조)라는 일본의 기독교 사상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러일전쟁에서 한일합방, 삼일운동에 이르는 시기에 일본의 대표적인 기독교사상가의 식민지관을 검토해 봄으로서 일본의 모습을 조명하고 있다. 吉野作造라는 일본의 기독교 사상가의 사상을통해 일본인들의 親韓 혹은 嫌韓의 실체가 동일한 뿌리에서 나온 것임을 알게될 때 한일관계의 미래 혹은 현재가 왜 이렇게 복잡한지를 절감하게된다.
일본의 고유종교는 神道이다. 이 원시적 종교는 불교를 받아들여 의식과 철학이론을 보강하면서 종국에는 불교를 신도화하는데 성공하였다. 일본의 기독교 역시 불교와 별반 다르지 않게 발전하였다. 일본은 기독교의 장점을 재빨리 흡수한 다음 기독교를 걷어차 버렸던 것이다. 명치유신 이후 서양의 선교사들이 일본에 들어와 선교를 시작한다. 이때 일본은 기독교적 메시아 주의에 일본의 팽창주의 혹은 제국주의를 결합함으로서 국가주의 교회와 비슷하게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기독교도들에게 일본의 팽창은 모세가 이스라엘을 이끌고 광야에서 나와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은 의미였다. 즉 일본의 지정학적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조선과 만주를 그리고 대만을 병합하는 것이 신의 소명으로 이해되었던 것이다. 이런 일본의 시각은 福澤諭吉(후쿠자와 유키치)이 청일전쟁을 문명과 야만으로 규정하면서 전쟁이 필연적이었고 일본이 승리할 수밖에 없었다고 본 명치시절의 사상과 맥이 닿아있다.
福澤諭吉 이후 일본의 지식인 사회는 다양성을 상실하고 정부 정책의 충실한 대변자로 변모하게된다. 이런 사정은 교회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 책에 소개되는 吉野作造는 이 시기 가장 진보적이면서 개방적인 일본의 종교인이면서 지식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조선에 관한 사고방식은 명치시절의 사고방식을 전혀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한 예로 吉野作造는 삼일운동 이후 무단통치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하여 일본 정부로부터 요시찰 인물로 찍히기까지 하였다. 하지만 그의 무단통치 반대는 조선의 독립이나 조선 민족의 아픔을 이해한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의 이익을 위해 일본 정부가 어느 선까지 적당히 후퇴해야 한다는 점을 종교적 용어로 완곡하게 말한 것 뿐이었다.
사실 삼일운동은 일본에게는 엄청난 충격이었다. 1905년 이후 착실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되었던 조선의 식민지화 정책이 실패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일본은 조선을 무력으로 몰아붙이고-법에 의해 통치-기득권 계층의 이익을 적당히 보장하면 식민지 정책이 무난하게 성공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하지만 이런 일본의 정책이 삼일운동으로 인해 커다란 시련에 직면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대해 吉野作造는 무단통치를 종식하고 조선인의 심성에 호소하는 좀더 온건한 정책으로 전환하기를 요구하였다. 그리고 조선인에게 일본인과 동일한 교육의 혜택을 주면서 조선의 일본화를 추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그 시기는 백 년 혹은 2-3세대가 흐른 후에 일본의 이런 온건한 정책이 지속된다면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삼일운동에서 나타난 조선의 자주독립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었다. 즉 吉野作造는 종교적 심성을 가진 제국주의자였던 셈이다.
실제로 일본 교회는 明治, 大正, 昭和를 거치면서 종교의 본질적인 면을 왜곡하였다. 그 시작이 명치시대였다. 선교사들에 의해 갓 이식된 교회는 명치시대 청일전쟁을 통해 일본이 중국을 물리친 것을 보고 일본이 새로운 신의 소명을 받은 국가로 생각하였다. 이것은 천황과 신의 나라라는 일본의 공식과 절묘하게 들어맞는 과정의 시작이었다. 이후 대정 데모크라시를 거쳐 소화시대의 태평양 전쟁까지 그리고 패전 후의 지금까지 일본의 시각은 명치 시대의 관점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않았다. 다만 달라진 것이 있다면 총칼을 앞세운 무력이 아니라 경제력을 통한 일본의 아시아적 사명 혹은 세계적 사명을 조심스럽게 전파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일본 교회의 국가주의적 모습과 기독교적 감성이 결합되어 "大東亞 共榮圈"사상이 탄생하였다. 즉 일본을 머리로 다른 아시아 국가는 지체로 하는 하나의 유기체적 결합체로서의 일본이 바로 그것인 것이다.
일본의 지식인 사회에는 결코 親韓, 嫌韓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에게 존재하는 것은 일본이라는 국가만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들은 이 국가라는 유기체가 왕성하게 움직일 수 있다면 무엇인든지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본의 시선은 결코 우리의 눈높이에 맞춰져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일제강점기 동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일본의 시선을 오해하면서 거기에 부화뇌동하였을까? 그 시선의 맞춤은 지금도 결코 중단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일본은 조선을 강제병탄하면서 "조선인은 사대상에 젖어있는 흰색과 같아서 우리들의 입맛에 맞는 색깔로 염색할 수 있다"고 호언하였다. 하지만 우리 선배들은 풍찬노숙하면서 조국의 광복을 염원하였고, 일본이 원하는 그 어떤 색으로 변질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감개무량한 팔월에 이런 좋은 책을 만났다는 반가움에 더위를 잊고 읽고, 급한 마음을 정리하지 않고 써내려 두서가 없지만 여러분들의 양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