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밴디트 - 의적의 역사
에릭 홉스봄 지음, 이수영 옮김 / 민음사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의적義賊이란 단어는 아주 애매모호한 의미를 풍긴다. 옳을 의와 도적 적이 결합되었는데 이것은 아주 기분나쁘게 들린다. 어떻게 옳음과 도적이 같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는가? 마치 거룩한 창녀, 타락한 성녀와 같은 언어의 조합이기 때문이다. 이런 언어의 조합은 철학적으로는 불가당이겠지만 종교적 혹은 현실적으로는 용인된다는 점에서 아주 불편하다. 우리들은 오래 전에 '영웅본색'이란 영화를 보면서 그런 착각에 당혹해 했었다. 분명 영화 속의 한편을 선택해야 하지만 이쪽과 저쪽의 본질은 범죄집단이란 사실이었다. 즉 우리들은 영화 속에서 주윤발을 선택함으로서 좋은 악당을 자신의 편으로 삼았다는 뜻이다. 반대의 의미 역시 같다. 우리들은 영웅본색을 통해서 느낀 감정이 현실 속에서 존재할 수 없지만 그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그러할까?
바로 이 접점에 밴디트의 이야기가 존재한다. 법과 무질서의 접점에 의적이 있는 것이다. 그들은 어느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확실한 것은 어느 쪽이나 이들의 본 모습보다는 과장되고 왜곡된 모습으로 기술한다는 것이다. 기득권층에게는 잔인하고 사악하며 무자비한 도적이지만, 소외계층에게 이들은 구세주이고 권력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의적인 것이다. 판초비야가 미국인들에게는 콜롬버스 마을의 학살자이지만 멕시코인들에게는 그링고의 코를 납작하게 해준 영웅인 것이다. 사람들은 판초비야 때문에 미국이 대대적으로 멕시코에 침입하여 자신들의 국가권력을 훼손하고 돌아다녔다는 사실은 잊어버린다. 마찬가지로 수호지의 양산박 호걸들은 민중의 편에 선 의적으로 추앙받지만 이들 역시 당시 세계관의 한계를 결코 뛰어 넘을 수 없었다는 점이다.
도적들은 결코 법과 무질서 가운데 어느 한쪽을 확실하게 선택할 수 없다.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순간 이들은 생명력을 잃고 만다. 법을 지키면 그들은 범법자가 된다. 그래서 무법을 선택한다면 그저 단순한 도적이 될 뿐이다. 그들은 이런 딜레마를 잘 알고 있을까? 시칠리아의 도적이었던 살바토레 줄리아노는 이런 딜레마를 언론을 통해 희석 시켰다. 말을 타고 달리는 모습이나 총을 들고 서 있는 그럴 듯한 모습을 통해 자신이 파업중인 노동자들에게 총격을 퍼붓고 범죄자의 하수인으로 활동하였다는 것을 그럴듯하게 포장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대중들은 줄리아노의 그 어떤 모습보다도 잡지의 겉표지에 드러난 모습을 통해 기억한다. 의적이란 어쩌면 이렇게 왜곡되고 회화화된 모습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의적의 이런 모습이 하나의 전형적인 모델로 굳어지면 가공할 위력을 발휘하게 된다. 중국 공산당의 대장정과 그들의 규율은 중국 민중들에게 의적의 표본으로 회자되었다. 반면 국민당군대는 그들이 익숙한 탐관오리의 주구로 비하되었다. 대중이 공산당과 국민당을 어떻게 보고 이해하는가에 따라 국공내전의 승패는 결정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의적은 민중이란 연못에서 헤엄치는 물고기와 같은 것이다. 이 말은 모택동이 자신의 전략에서 아주 그럴듯하게 써먹지 않았던가? 의적과 도적의 중간지대를 안다는 것은 바로 권력을 알고 있다는 것과 다름이 아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