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스트 푸어만 교수는 즁세 유럽 역사가로 특이하게도 假-이시도루스 법령집 전문가이다. 假-이시도루스 법령집 이란 무엇인가? 이 법령집은 7백여쪽에 걸친 책으로 교황의 교령, 시노드의 결의사항, 프랑크왕국의 제국법, 그리고 중세 이후 가장 큰 논란을 야기한 <콘스탄티누스 증여>를 수록하고 있는 법령집이다. 여기에는 초기 로마 주교의 문서가 115개가 들어있는데 이 문서들은 거의다 프랑크 왕국에서 날조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125개의 문서는 정본의 문서를 후대에 혹은 나중에 변조하거나 위조한 내용을 끼워넣은 것이다. 역사가들은 이 위조 법령집이 전문적인 성직자 위조꾼들에 의해 프랑크 왕국 중심지역인 라임즈에서 위조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문서가 나오게 된 이유는 이제까지 행사되었던 교회에 대한 왕의 간섭을 제거하고 교회의 독자성-혹은 교황의 절대적 권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가짜 법령집은 이후 교회와 교황권의 세력강화와 확장을 위해 이용되었다. 그럼에도 호르스트 푸어만 교수는 자신의 저서인 <중세의 초대>에서 이 책의 위조와 관련된 두 가지 물음을 우리에게 하고 있다.
첫번째는 "중세 때엔느 윤리가 결여되어 있었던가?" 푸어만 교수는 단호히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다. 그의 대답에 따르면 당시 어떤 법령을 유효하고 정당하게 만드는 것은 입법이란 외적행위가 아니라 오직 그 안에 담겨있는 正義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푸어만 교수는 법령집을 위조한 위조자들이 하늘나라를 위해 봉사했고, 자신들이 주관적으로 생각한 구원질서에 봉사했다고 본 것이다. 푸어만의 이런 변명은 하늘나라에 봉사한다면 도덕적으로 아무 꺼리낌없이 이런 위조문서를 만들어도 되는가하는 의문을 갖게한다. 그리고 교회의 이름으로, 혹은 교회를 위해 하는 거짓말은 진리가 되는가? 아니면 공익적이고 하느님 뜻에 맞갖은 일을 위한 모든 위조는 수단을 정당화하는 목적이라는 의미에서 윤리적으로 정당화되는가?하는 질문을 하게 된다.
이렇게 인정받은 위조문서들이 야기한 치명적인 결과는 과연 무엇일까? 호르스트 푸어만은 중세의 초대에서 이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지는 않는다. 물론 그의 학문적 영역 밖이기에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假-이시도루스 법령집이 교회에 끼친 몹쓸 영향은 무엇일까? 교회사가 셉펠트는 교회의 법과 제도에 있어서 진화적 사고의 부정과 교회의 자기이해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실제로 1983년에 개정된 가톨릭의 교회법전에서 교황의 권한에 관한 중요한 법규의 전거로 옛 법전에서 6개의 전거를 제시했는데 3개는 假-이시도루스 법령집에서 나머지 3개는 그 법령집에서 파생된 것에서 근거한 것이라는 점이다.
호르스트 푸어만의 <중세의 초대>를 읽으면서 중세가 암흑이 아니었다는 점에 중심을 두며 읽다보니 세상은 속아넘어가고 싶어한다. 그래서 속어넘어간다라는 냉소적인 진리를 보지 못한 것은 책을 읽는 우리들의 자세를 다시 한번 가다듬게 하는 것이 아닐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