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과 권력의 역사 - 인간 문명 그리고 시간의 문화사
외르크 뤼프케 지음, 김용현 옮김 / 알마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시간과 권력이라는 등식은 약간 생소하지만 학교에서부터 '시간은 금이다'라는 소리를 들은 사람들에게 히미하게 그 말 뜻이 무엇인지 다가올 수 있다. 

시간은 공간처럼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공간을 관통하는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기에 시간이란 개념은 막연하게 아주 먼 옛날부터 중요한 것이었다. 원시인들도 무리지어 동굴 속에서 집단생활을 하면서 그 동굴을 지나가는 시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춥고-따스하고-더워지고-다시 추워지는 순환의 사이클을 그들은 가장 먼저 느낀 시간의 개념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주변 사람들이 아기-젊은이-늙은이로 변해가다 결국 죽는다는 사실에 시간은 영속하지만 자신들은 유한하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느꼈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추상적인 시간이 개념적인 시간으로 바뀌게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유럽에서는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시간이란 추상적인 개념을 명확한 수의 개념으로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초를 이용한 시간계산이나 물 또는 모래를 이용한 시간의 분류는 시간을 양(量)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인간의 자부심이었는지도 모른다. 

동양에서도 왕조가 바뀌면 가장 먼저 역(曆)을 정비하는 것이었다. 일년의 초하루를 정하고 제사의 시간을 정하는데 이전 왕조의 역법이 아니라 자신들의 역법을 갖추는 것이 바로 왕조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었다. 

시간의 등식화를 가장 원했던 집단은 종교세계였다. 특히 그리스도교가 유럽의 종교가 되면서 시간의 개념은 아주 중요한 것이 되었다. 유럽의 그리스도교 세계는 라틴어를 기반으로 코르도바에서 크라코프가지 웁살라에서 예루살렘까지 하나의 종교를 기반으로 하나의 종교적 세계를 형성하였다. 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종교였고 종교의 전례역典禮曆은 통일되어야 했다. 특히 그리스도의 탄생과 죽음과 부활의 날짜는 명확해야만 했다. 이 날짜는 온 유럽이 동시에 함께 찬미하고 슬퍼하고 기뻐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교회가 끊임없이 케사르가 만든 태양력의 달력을 더욱더 정교하게 수정하여 그레고리우스력으로 대체한 것은 이런 필요에 의해서였다. 즉 시간을 장악한 자가 권력을 장악하게 된 것이다. 

이런 종교정치적인 시간의 역사는 종교개혁을 통해 큰 변화를 격게된다. 로마를 반대하는 집단은 로마의 력법을 거부하고 자신들의 역법을 고수하였다. 특히 로마와 대립각을 세웠던 정교회는 그레고리우스 교황의 역법개혁을 거부하고 이전 케사르의 역법을 준수하고 있었다. 이 양자간의 차이는 그레고리우스 교황이 역법을 개혁할 때 정교회가 동참하지 않으면서 라틴 세계와 그리스 세계는 11일의 날짜 차이를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종교적인 것은 종교개혁 이후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오히려 이후에는 정치적인 면에서 시간의 통일성이 중요했다. 식민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국주의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서 해양강국들은 항해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시간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위도는 적도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정확하게 나누어지기에 별 문제가 없었지만 경도는 권력의 문제였다. 어디를 중심으로 경도의 시작을 나누느냐에 따라 시간은 변화무쌍하게 요동치기 때문이었다.

우리는 전쟁사에서 유명한 과달카날 전투가 벌어진 곳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는 곳에 솔로몬 제도가 위치하는 것에 큰 의문을 느끼기도 한다. 왜 예루살렘과 동떨어진 곳에 이스라엘의 왕인 솔로몬의 이름이 붙여졌는지. 솔로몬 왕은 아기가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두 여인에게 아이를 정확히 둘로 가르라는 판정을 내린 왕이었다. 대항해 시대를 처음 연 스페인의 탐험대가 이곳에 도착했을 때 이곳을 솔로몬 제도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여기가 자신들이 떠난 곳에서 정확히 지구의 반이 되는 180도 되는 지점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이곳은 정확한 반보다 더 서쪽에 위치해 있었다. 

이 험난한 작업은 제국주의의 선봉장인 영국에 의해 완성되면서 시간은 정확하게 인간을 시각적으로 지배하게 되었다. 이 결과 영국은 지구의 반 이상을 식민지로 삼아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을 형성하였다. 

시간의 권력이 종교에서 경제 혹은 정치로 넘어가면서 이 시간은 엄격한 기준을 갖게 되었다. 시간의 엄수는 바로 규칙에 대한 복종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모든 관료들은 정시에 출근하여 정시에 퇴근해야 했고, 노동자들 역시 시간에 맞춰 자신들의 일을 해야만 했다. 즉 시간을 통제하는 자가 권력의 실세가 되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