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림칠현, 빼어난 속물들
짜오지엔민 지음, 곽복선 옮김 / 푸른역사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의 이나미 리츠코井波津子교수는 “배신자의 중국사”라는 저서에서 진晉왕조의 기초를 닦은 사마의司馬懿를 평가하면서 ‘음침함’이란 단어를 사용하였다. 여기에는 긍정적인 의미보다는 부정적인 뜻이 더 크게 부각되고 있음은 자명하다. 이나미 교수에게 있어서 사마의司馬懿, 사마사司馬師, 사마소司馬昭, 사마염司馬炎으로 이어지는 3대 4명의 행위는 혐오의 극치였다.

겸손을 가장한 음험함으로 권력을 잡고, 무자비한 숙청을 통해 자신들의 안위를 구축한 사마씨의 진 왕조는 시종일관 이런 음험함으로 일관된 왕조였다. 그것은 대를 통해 전해진 배신의 유전자로 인한 도덕의 부식이 가져온 필연적인 결과였다.

사마씨의 이런 처세관은 후한이 망하고 3국이 정립된 시대에서 필연적인 선택이었다. 이 시대는 자신 이외에 믿을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시대였다. 자신의 판단력이 올바르면 목숨과 함께 부와 권력을 얻을 수 있었지만 자신의 선택이 틀렸다면 멸족의 화만이 있을 뿐이었다. 조조 대신 동탁을 선택했던 채옹이나, 조위를 위해 사마씨와 대립했던 하안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이런 상황에서 권력을 갖지 못하고 권력의 주변에 기식해야만 했던 문인들은 판단력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었다. 하지만 이런 판단력도 자신을 지켜주는 것은 아니었다. 속을 알 수 없는 지도자 밑에서 처세하는 것은 언제나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이었다.

이런 정치적 상황 속에서 자신을 보전하면서 명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었을까? 이 책의 저자 짜오지엔민趙劍敏교수는 ‘죽림칠현竹林七賢’이란 화두를 들고 나온다. 조검민 교수는 죽림칠현의 모습을 자세하게 우리에게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도록 도와주고 있다. 역사의 상황과 개인의 처지를 대비하면서도 시종일관 진 왕조의 교활함과 잔인함이란 정치상황을 배경으로 깔고 있다. 그렇지만 조검민 교수는 이들 죽림칠현들이 시대의 피해자라거나 시대의 산물이라는 신파적인 결론으로 나아가지는 않는다. 그져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리면서 판단은 우리의 몫으로 남겨놓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