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림칠현, 빼어난 속물들
짜오지엔민 지음, 곽복선 옮김 / 푸른역사 / 2007년 3월
평점 :
일본의 이나미 리츠코井波津子교수는 “배신자의 중국사”라는 저서에서 진晉왕조의 기초를 닦은 사마의司馬懿를 평가하면서 ‘음침함’이란 단어를 사용하였다. 여기에는 긍정적인 의미보다는 부정적인 뜻이 더 크게 부각되고 있음은 자명하다. 이나미 교수에게 있어서 사마의司馬懿, 사마사司馬師, 사마소司馬昭, 사마염司馬炎으로 이어지는 3대 4명의 행위는 혐오의 극치였다.
겸손을 가장한 음험함으로 권력을 잡고, 무자비한 숙청을 통해 자신들의 안위를 구축한 사마씨의 진 왕조는 시종일관 이런 음험함으로 일관된 왕조였다. 그것은 대를 통해 전해진 배신의 유전자로 인한 도덕의 부식이 가져온 필연적인 결과였다.
사마씨의 이런 처세관은 후한이 망하고 3국이 정립된 시대에서 필연적인 선택이었다. 이 시대는 자신 이외에 믿을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시대였다. 자신의 판단력이 올바르면 목숨과 함께 부와 권력을 얻을 수 있었지만 자신의 선택이 틀렸다면 멸족의 화만이 있을 뿐이었다. 조조 대신 동탁을 선택했던 채옹이나, 조위를 위해 사마씨와 대립했던 하안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이런 상황에서 권력을 갖지 못하고 권력의 주변에 기식해야만 했던 문인들은 판단력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었다. 하지만 이런 판단력도 자신을 지켜주는 것은 아니었다. 속을 알 수 없는 지도자 밑에서 처세하는 것은 언제나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이었다.
이런 정치적 상황 속에서 자신을 보전하면서 명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었을까? 이 책의 저자 짜오지엔민趙劍敏교수는 ‘죽림칠현竹林七賢’이란 화두를 들고 나온다. 조검민 교수는 죽림칠현의 모습을 자세하게 우리에게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도록 도와주고 있다. 역사의 상황과 개인의 처지를 대비하면서도 시종일관 진 왕조의 교활함과 잔인함이란 정치상황을 배경으로 깔고 있다. 그렇지만 조검민 교수는 이들 죽림칠현들이 시대의 피해자라거나 시대의 산물이라는 신파적인 결론으로 나아가지는 않는다. 그져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리면서 판단은 우리의 몫으로 남겨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