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에게는 자신만의 신화가 존재한다. 그 신화의 핵심은 기억이다. 기억의 강약에 따라 신화의 줄거리는 달라진다. 하지만 변함없는 사실은 자신이 그 신화의 중심에 언제나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신화는 자신의 존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남자들 세계의 신화는 군대가 압도적이다. 그렇다면 군대의 신화를 검토해 보자. 군대는 규율에 얽매여 있는 사회이다. 여기서는 자신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상부로부터 下達되는 명령이 우선하는 집단이다. 그럼에도 우리들은 주막집 신화에서 이런 관계를 무시하고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군대 이야기를 이야기한다. 이때부터 군대 이야기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 신화의 세계 혹은 설화의 이야기로 변질된다. 그러나 우리는 화자나 청자나 이런 사실을 가볍게 지나친다. 그것은 경험의 공유라는 공범적인 관용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신화나 설화의 세계에서도 존중되는 것이 하나 있다. 그것은 집단의 힘이라는 것이다. 자신을 억압하는 상대적인 집단의 힘이 강할 수록 거기에 저항하는 개인의 의지 혹은 영움담은 더욱 극대화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신화 혹은 설화를 창조하는 사람일 수록 상대의 능력을 과장한다. 헤라클레스의 12가지 영웅담이라 테세우스의 모험담을 과외로 하더라도 월남전에서 미군의 관점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봐야 할 것이다. 월남전에 처음 참전했을 때 미국의 입장은 대단치 않은 적과의 싸움으로 치부했지만 지긍의 평가는 자신들이 싸울 수 있었던 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그것은 역사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평가가 아니라 처음 부터 말하고 싶었던 진실의 고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세상의 역사를 보면 자신이 진정으로 죽이고 싶어한 적이라면 자신의 위업만큼 훌륭한 상대였다고 평가하는 것이 상례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자신의 위업이 부각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위업은 상대의 힘에 비례한다. 상대가 강하면 강할 수록 자신이 그 상대를 정복했다는 사실이 부각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를 보면 정복자는 상대를 무시하지만 그 힘 혹은 능력만은 훌륭했다고 기술한다. 그래야만 자신이 그 힘을 넘어서는 능력을 보유했다고 과시할 수 있기 때문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