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겔루스 노부스 진중권 미학 에세이 2
진중권 지음 / 아웃사이더 / 200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 진중권은 두 개의 얼굴을 갖고 있다. 하나는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의 저자이며, 조선일보 독자 마당의 ‘밤의 주필’을 자처하고 누구든 정치적으로 옳지 않다고 생각하면 피아를 가리지 않고 가차없이 독설을 퍼붓는 인터넷 논객의 얼굴이다. 다른 하나는 ‘미학 오디세이’의 저자로 미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들이 미학을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길을 연 미학 연구자의 얼굴이다. 정치에 관심 있는 네티즌들은 어딜 가나 논쟁을 몰고다니는 논객 진중권을 더 낯익게 여기지만, 실제 그의 최고 베스트 셀러는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가 아닌 ‘미학 오디세이’다.

새 책 ‘앙겔루스 노부스’에서 진중권은 오랜만에 미학 연구자의 모습을 드러낸다. 혹은 미학 에세이스트라고 해야 할까. ‘월간 우리교육’에 연재됐던 에세이를 다듬어 낸 이 책은 미학사를 다시 읽겠다는 원대한 구상과 그가 글을 쓰던 당시의 기분·정서·감정들을 같이 담고 있다. 또 톡톡 튀다 못해 가끔 독자를 황당하게 하는 ‘진중권표’ 문체도 빼놓을 수 없다. 그리스의 미의식을 이야기하면서 고귀한 영혼을 가진 사람이 성인이 되면 몸과 영혼이 예쁜 미소년을 만나 영혼의 씨앗을 심어 영혼의 번식을 한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호모 섹슈얼이 된다는 얘기다. “이때만 해도 철학과 섹스는 하나였다. 좋은 시절이었다”고 아무렇지도 않게 말할 수 있는 미학 연구자는 흔치 않다.

그러나 그가 쉽고 잘 읽히는 문체로 펼쳐 보이는 문제 의식은 만만한 것이 아니다. 예술을 인식의 대상으로 파악하던 기존의 미학에서 벗어나 “철학과 섹스가 하나가 돼 미를 향해 상승하는 영적·육체적 생식의 시대”, “삶이 예술이 되고, 모든 인간이 예술가가 되는 시대를 꿈꾸는 ‘존재미학’”이 그의 꿈이다. 그가 내보이는 존재미학의 영웅은 “창조적 개새끼”이자 “위대한 영혼”인 디오게네스다. 노예 시장에 팔려 나가서도 태연하게 한 사람을 가리키며 “나를 이 자에게 파시오. 이 자에게는 주인이 필요한 것 같소”라고 말할 수 있었던 철학자 디오게네스.

진중권은 늘 자기 자신의 주인이었던 그에게 “최초의 자유사상가, 최초의 세계시민, 최초의 변증법적 유물론자, 알렉산더 대왕이 부러워한 개새끼, 위대한 영혼”이라는 찬사를 바친다. 이 책의 끝을 장식하는 것은 파울 클레의 그림 ‘앙겔루스 노부스’[新天使]다. 일찍이 문예비평가 발터 벤야민이 ‘역사철학 테제’에서 ‘역사의 천사’라 부른 바 있었던 이 새로운 천사는 거짓 선지자가 던지는 헛된 미래의 약속에 귀기울이지 않는다.

역사 속에서 ‘죽은 자를 깨우고 패배한 자들을 한데 모으고 싶은’ 천사가 찢어진 눈으로 응시해야 하는 것은 과거다. 과거에 묻혀버린 반역의 기억들, 객체 아닌 주체적 경험의 기억들을 현재의 것으로 되살려낼 때 비로소 역사나, 미학도 온전히 살아 변화할 수 있다. 그리하여 ‘구원은 그 기억속’에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