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자들 - 고종석의
고종석 지음 / 개마고원 / 2009년 12월
평점 :
그동안 꾸역꾸역 고종석의 책을 읽어왔다. 그가 처음 낸 <기자들>부터 이 <여자들>까지. 그중에는 실망스러운 글도 있었고(가령, 코드훔치기, 이건 지나치게 신문연재용이라는 티를 낸다), 나를 매혹시켰던 것도 있다. 그의 가장 좋은 글들은 ‘언어’를 제나름으로 해석하는 데 있다. 그의 호사취미와 인문적 배경, 무엇보다도 ‘언어’에 대한 관심 탓이리라. <사랑의 말 말들의 사랑>이 바로 그것. 나는 그것을 후다닥 탐독하고는 술자리 어디선가, 잃어버렸다. 그때 잃어버린 고종석의 ‘사랑의 말’들은 술집 어느 구석에서 알콜을 뒤집어 쓰다 재활용 쓰레기장으로 가버렸을 터.
고종석이 편애해 마지않는 여자들의 목록은 예상을 별로 벗어나지 않는다. 여자들은 그의 정치적 자유주의자가 포용하는 범위 내에 있다. 그의 정치적 자유주의는 한국적 의미가 아닌 보편적 의미의 그것이고, 동시에 진보적 사유의 ‘안쪽’에 있다. 오른쪽으로는 복거일과 김현으로부터 왼쪽으로는 심상정과 로자 룩셈부르크에 이르지만, 오른편에 위치한 사람보다 왼편에 있는 사람이 더 많다. 나는 그의 자유주의가 맘에 들고 마음 편하지만, 노무현과 김대중을 향할 때 표나게 보이는 냉소적 비판은 불편하다. 그럴 때 그의 자유주의는 돌연 진보적이 되는데, 그가 신자유주의를 혐오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넓은 의미에서 억압과 착취를 혐오하는 ‘호모사피엔스’여서이기도 하다.
그는 마더 테레사에 대해 쓰면서 스탕달의 “나는 민중을 사랑하고 그들을 억압하는 사람들을 미워한다. 하지만 그들과 함께 사는 일은 내게 영원한 고문이나 마찬가지일 것이다”을 인용하고 있는데, 이는 바로 그의 사유가 가진 정치적, 사회적 위상이기도 하다. 그는 인문적 사유를 사랑하는 지식인의 자리에 서 있다. 그 ‘거리감각’이 그의 글을 편안하게 만든다. 김철이 말했듯이 그는 우파보다 더 우파같고, 좌파보다 더 좌파같은 유연함과 활달함을 보여준다.
스탕달에 공감하는 그에게 편애하는 여자의 상당수가 ‘좌파’라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다. 첫머리의 로자부터, 라 파시오나리아, 아룬다티 로이, 콜론타이, 마리 블롱도, 로자 파크스, 죠피 숄, 클라라 체트킨, 시몬느 베이유까지. 물론 이중 로이나 베이유처럼 좌우로 구분하기에는 애매한 인물도 있다. 동시에, 열정과 격정, 성적 욕망과 팜프파탈적 기질을 가진 여자에 대한 매혹도 한자리를 차지한다. 이화, 프랑수아즈 지루, 갈라, 사포, 니콜 게랭, 오리아나 팔라치 등. 하지만 고종석은 레니 리펜슈탈이나 마거릿 대처같은 우파적 열정은 사랑하지 않는다. 새된 목소리의 좌파 선동가부터 격정적인 욕망과 섹스의 화신까지, 남자의 욕망은 여자의 열정앞에 언제나 맥없이 무릎을 꿇지 않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