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의 기술 2
벳시 프리올뢰 지음, 강미경 옮김 / 이마고 / 2004년 11월
평점 :
품절


 

세기의 요부 마릴린 먼로와 페미니스트 글로리아 스타이넘 중에 누가 더 ‘유혹녀’(seductress)의 자질을 갖고 있을까. 먼로는 육감적인 몸매와 뇌쇄적인 눈빛으로 숱한 남자들을 침대로 끌어들였지만 스타이넘은 늘그막에야 결혼에 골인했다. 그럼 정답은 먼로가 아닐까. 하지만 미국의 역사학자 벳시 프리올뢰는 먼로는 유혹녀가 아니고, 스타이넘이야말로 타고난 유혹녀라고 말한다. 그녀는 “독립적인 존재이자 쾌락주의자이며, 남녀 관계에서도 주도권을 쥐고 있는 여성”이 바로 ‘유혹녀’의 새로운 기준이 돼야 한다고 말한다.

그녀가 대학에서 ‘소설에 나타난 유혹녀’를 주제로 강의한 뒤 펴낸 ‘유혹의 기술 2’는 ‘세상을 매료시켰던 여자들’에 관한 책이다. 저자는 선사 시대의 여인에서부터 시작해 그리스 시대의 창부, 현대의 여성 운동가 스타이넘에 이르기까지 역사상의 대표적 유혹녀들을 분석하고 있다. 2년 전 번역 출간돼 베스트셀러가 된 ‘유혹의 기술’이 보편적인 유혹자들을 다루고 있다면 이 책은 그중 ‘여성’에 주목하고 있는 셈이다.

저자는 유혹녀에 대한 잘못된 신화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슬아슬한 비키니 차림으로 섹시함을 자랑하는 금발의 미녀이자 풍만한 몸매를 과시하기 위해 스판덱스 소재의 옷만 골라 입는 요부”는 “천박하고 겉만 번지르르한 싸구려 유혹녀”에 불과하다. 이제 진정한 유혹녀는 탁월한 지성과 자율성, 성실함과 세련미를 두루 갖춘 여성이다. 역사에서 이런 여성들은 기존 질서를 어지럽힌다는 이유로 ‘악마’로 취급받았지만 이제는 정당하게 평가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스의 창부 아스파시아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다. 그녀는 소크라테스를 가르쳤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애인이었던 페리클레스의 연설문을 대신 작성해주기도 했다. 니체를 사로잡았던 루 살로메, 아르헨티나의 여신 에바 페론 등도 마찬가지다. 저자는 나이든 유혹녀·지적 세이렌·예술가·정치가·모험가 등 6개 유형으로 유혹녀를 분류한다. 모두 육체적 아름다움에만 머물지 않고 자신의 재능을 적극적으로 발휘하고 남성들을 정복했던 여성들이다.

역사상의 유혹녀들이 가진 ‘유혹의 기술’은 어떤 것일까. 저자에 따르면 그것은 먼저 성적인 기술이고, 우아한 몸짓과 스타일로 관능미를 발산할 줄 아는 ‘분위기 연출의 기술’이다. 또한 최음제처럼 말을 구사할 줄 아는 ‘대화의 기술’, 남성의 정신세계를 정복하고 충성심을 이끌어내는 ‘심리의 기술’도 포함된다. 저자는 이런 ‘기술’들이 어떻게 발휘돼야 하는지를 풍부한 ‘성공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유혹녀는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저자가 던지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여성 내부에 잠재된 유혹녀로서의 능력과 매력을 스스로 발견하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