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키요에의 美 - 일본미술의 혼
고바야시 다다시 지음, 이세경 옮김 / 이다미디어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빈센트 반 고흐가 근대 일본의 풍속화인 우키요에(浮世繪)의 열광적 매니어였다는 사실은 아주 잘 알려져 있다. 모네·드가·로트레크 등 서양의 인상파 화가들도 모두 우키요에에 흠뻑 빠져 있던 사람들이다. 1867년 파리 만국박람회 당시 일본 도자기를 감싼 싸구려 포장지로 쓰였던 우키요에가 모네에 의해 발견되면서 유럽에는 ‘자포니즘’(Japonism·일본주의)이 마치 유행처럼 번져 나갔다.
우키요에가 한창 제작됐던 에도(江戶)시대(1603∼1867)에 조선통신사 일행이 에도를 방문했지만 이 그림이 그들을 통해 한국에 건너오지는 못했다. 일본의 미술사학자 고바야시 다다시는 “이국의 풍속화인 우키요에가 그 무렵 한국인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끌지는 못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지난 6월과 8월 국내에서 열린 대규모 우키요에 전시회가 성황을 이뤘던 것을 보면 우키요에는 한국인들에게도 충분히 매혹적인 모양이다.
‘우키요에의 미’는 자포니즘을 이끌었던 이 일본 미술에 대한 본격적인 안내서다. 우키요에 연구의 대가인 저자 고바야시는 하시카와 모로노부·기타가와 우타마로·우타가와 히로시게 등 대표적인 우키요에 거장 12명의 작품들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들을 도판으로 소개해 놓고 있는 입문서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우키요에를 “에도라는 특정한 도시에서 초닌(町人·도시의 상인과 중인층) 문화의 하나로 발전된 서민적 회화”라고 말하고 있다.
‘우키요’는 이 세상, ‘에’는 그림을 뜻하는 말로 우키요에는 한마디로 ‘현재의 세태와 풍속’을 그리는 그림을 의미한다. 에도시대에는 현재를 낙천적이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풍조가 널리 퍼져 있었다. 우키요에에 유곽이나 기녀·가부키·스모 등 현세적인 쾌락과 향락주의가 자주 등장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목판화로 제작돼 대량생산되었던 우키요에는 당시 에도 서민들의 애호품이자 특산물이었다.
우키요에가 ‘왜색’을 짙게 풍긴다고 해서 거부감을 느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 그림들의 간결하되 강렬한 묘사는 충분히 매혹적이다. 한세기 전의 서양화가들이 이 작품들에 끌렸던 것은 그들의 이국 취향과 동양적인 것에 대한 편견인 ‘오리엔탈리즘’이 작용했겠지만 그것은 또한 우키요에가 가진 힘이기도 했다.
이 그림들에 나타난 근대 일본의 풍경은 대단히 활력있고 생동감있다. 그림을 넘어 한 시대의 역동적 실상을 실사로 보여주는 기록물이기도 하다. 그것은 바로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가장 성공적으로 근대개혁에 성공한 일본의 얼굴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