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 신지역주의 선언
와다 하루끼 지음, 이원덕 옮김 / 일조각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북아시아의 현대사는 전쟁의 역사다. 한국전쟁 이전에도 임진왜란·청일전쟁·2차대전 등 숱한 전쟁이 벌어졌다. 현재도 중동지역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전쟁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한·중·일 3국이 자리하고 있는 이곳에 영구적 평화가 찾아오기를 기대하는 것은 ‘유토피아적 상상’에 불과할 지도 모른다. 일본의 대표적인 지식인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는 이 불가능할 것 같은 유토피아를 꿈꾸는 사람이다.

와다 교수가 제시하는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구상’은 동북아 평화를 위한 일종의 지역주의 선언이다. 그는 1990년 ‘21세기와 한·일관계’라는 심포지엄에서 처음 이 구상을 제기한 이래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이의 실현을 위해 애써 왔다. 2차대전 당시 일본이 제창했던 ‘대동아 공영권’의 망령을 잊지 않고 있는 한국인들에게 이 구상은 자칫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도 있다. 내선일체(內鮮一體)니 ‘동아협동체’ 등의 구호로 표면화됐던 이 논리는 대륙 침략을 정당화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와다 교수의 주장은 일제의 논리와는 정반대 의미를 담고 있다.

우선 그의 주장에서 이채로운 것은 동북아 공동체의 창설을 한국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지정학적으로 한반도는 대륙과 해양을 잇는 중간지대다. 게다가 동북아 협력을 위해서는 군사적 긴장 상태에 놓여 있는 남북한의 역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한반도는 중국과 일본의 충돌이 벌어졌던 전장이기도 하다. 저자는 특히 재일·재미 한국인과 같은 ‘재외 코리안’의 적극적인 역할에 기대를 건다.

동북아에 새로운 긴장을 조성하고 있는 북핵 문제로 인해 저자의 주장은 별 설득력이 없는 것처럼 비쳐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 동북아의 움직임은 저자의 견해에 상당한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저자는 2001년 열린 동남아국가연합(ASEAN)+3 정상회의에 제출된 ‘동아시아 공동체를 향하여’라는 보고서와 2002년 9월 이뤄진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 그리고 노무현 대통령의 ‘동북아 평화공동체’ 정책 구상에 주목한다.

그의 주장은 국내외에서도 적잖은 지지를 받고 있다. 재일 한국인 학자인 강상중 도쿄대 교수와 ‘창작과 비평’ 같은 잡지에서도 일찌감치 그의 견해에 주목한 바 있다. 전쟁과 살육으로 얼룩진 이 지역에서 가능한 대안은 화해와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길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지역에서는 다른 역사적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국경을 넘어 서로의 경험을 교류하며, 토론을 통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협력하며 변화해간다.” 유토피아는 존재하지 않는 곳이지만 그것을 향한 노력은 끊임없이 추구돼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