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위의 딸 열린책들 세계문학 12
알렉산드르 세르게비치 푸시킨 지음, 석영중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시민 덕분에 다시 읽다. 19세기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낭만적 열정에 불타는 주인공들. 현대적 감각으로 보기에는 지나치게 순진한 열정에 사로잡힌 자들. 이사야 벌린이 말하는 '낭만주의 혁명' 이후의 인간, 합리적 이성을 거슬러 영원한 현재를 사는 근대인. 플로베르의 감정교육이거나 스탕달 소설의 주인공과 유사한 기질의 소유자들. 얘네들은 왜들 그리 눈물을 자주 흘리고, 절망하고, 감격하고, 신열에 들뜨는지? 개체발생이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계통발생의 ‘감정적 유년기’, 사춘기적 열정이 근대 낭만주의자들의 멘털리티인가? 

 푸가초프는 귀족적 아우라를 벗어 제낀 모험심 가득한 반항아의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푸시킨의 시선은 그에게 듬뿍 애정을 담고 있다. 내부의 존재이면서 외부자에 대해 보이는 이해와 은근한 동류의식. 말하자면, 푸시킨의 반봉건적 정치의식의 우회적 표현이자 이 소설의 정치소설적 독해를 가능하게 하는 대목. 유시민이 주목하는 것도 역시 이 대목. 짜르 시대 러시아의 폭압성과 모순, 근대혁명의 당위성을 숨기고 있는 정치적 텍스트로서 기능. 러시아의 주변인이자 외부자인 까자끄들의 재현방식, 반문명적이고 제정러시아 체제에 도전하는 불온한 존재들. 러시아 소설에서 이들은 늘 그렇게 그려지지 않았던가.

 

구원으로 등장하는 에카테리나 여제, 마조흐의 소설과는 정반대로 그려지는 인자한 군주이자 할머니. 아마도 검열을 피하기 위한 장치이겠으나 어색하게 보이는 것은 근대소설의 ‘내적 필연성’을 거스른 우연성이기 때문. 구원은 밑바닥 민중으로부터가 아니라, 저 높은 곳의 위대한 군주로부터 하강한다? 표층의 체제내적, 심층의 반체제적임을 가르는 경계선이겠지.

 

다시 읽어보니 서사는 새롭되 분위기는 어렴풋하게 기억, 안방 벽에 걸려 있던 ‘이발소 그림’과 그 속의 시구 역시 푸시킨이 아니었던가. “삶이 그대를 속일 지라도”의 바로 그 ‘삶’이라는 단어가 내게 풍기던 묘한 공포와 추상의 질감, 그건 내가 알 수 없고 닿을 수 없는 저편에 존재하는, 깊은 우물속의 그 무엇과도 같았던 것. 그걸 알지 못하는 한 내 유년은 영원할 것 같다는 불안에 시달렸던 것. 그러나, 푸시킨 시구가 거기 걸려있게 된 내력은 도무지 알 수가 없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