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쿠 가상 세계의 아이들
에티엔 바랄 지음, 송지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벨 옵세르바퇴르’ 기자로 주일 특파원을 지낸 에티엔 바랄은 현대 일본 사회의 독특한 특성을 해명하기 위해 ‘오타쿠’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다. 오타쿠는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 대해 전문가적 안목과 지식을 가진 열혈 매니어를 뜻한다. 애니메이션과 게임 등 문화산업 분야에서 일본이 보여준 성취는 바로 이들의 존재 덕분이다. 에티엔 바랄이 서울에 부임한다면 그는 ‘사이버 폐인’을 탐구대상으로 삼을 지도 모른다. 초고속 인터넷 가입률 세계 1위의 한국에서 사이버 폐인들은 전세대와는 전혀 다른 라이프 스타일을 보여주며, 한국의 문화를 밑바닥에서부터 서서히 바꿔 나가고 있다.

‘폐인’은 “병이나 못된 버릇으로 몸을 망친 사람”을 뜻하는 부정적 뉘앙스의 말이다. 거기에 ‘사이버’라는 말이 붙었으니 ‘사이버 폐인’은 인터넷 중독으로 몸을 망친 사람을 뜻할 것이다. 이들은 여러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디지털 노마드 등으로 불리다 최근에는 블로그족·디카족 등 활동유형에 따라 새로운 종족들이 생겨나기도 했다.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는 ‘사이버 폐인’을 일컬어 ‘대한민국 신인류’라고 부른다. 이 말속에 스민 부정적 의미를 걷어내고, 거기서 기성세대와는 다른 세대적 정체성을 찾고 있다. 황교수는 이들이 만들어내는 변화가 어떤 특성을 갖는지를 해부한다. 그에 따르면, 이들은 “머지않아 우리 사회의 주류집단으로 등장할 것”이다.

저자는 최근 몇년 동안 사이버 공간에 대한 심리학적 탐구를 지속해 왔다. 한국인의 행동특성과 생활양식을 규명해온 그에게 이 공간은 오늘날 한국인의 삶과 문화를 가장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다. 한국은 인터넷이 대통령을 뽑은 나라가 아니던가. 저자는 사이버 폐인들을 네버랜드를 찾아가는 동화 피터팬 속의 웬디에 비유한다. 이 ‘웬디들’이 만드는 세상에 대해 그는 낙관한다. “사이버 신인류가 새로운 주류집단으로 등장하면 우리 사회는 다양한 생각과 행동을 더욱 더 유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겠지요.

그런 한국사회라면 세대 전환이라는 자연현상이 훨씬 더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있겠지요.” 최근 국회 정치개혁특위가 사이버 공간을 통제하고 검열하기 위해 내놓은 ‘인터넷 실명제’는 이들의 문화에 대한 무지의 소산이라고 말한다.

저자의 심리분석과 생태연구는 상세하고도 흥미롭다.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을 우려하고, ‘인터넷 중독증’을 치유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기성세대에게는 상당한 계몽의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삶에 중독됐다’라는 말이 없듯이 인터넷이 삶인 이들에게 ‘인터넷 중독증’이란 말은 애시당초 성립될 수 없는 말이다.

하지만 정작 사이버 폐인들에게는 인기가 없는 책일 지도 모른다. 인류학자가 펴낸 책이 정작 연구 주제가 된 부족들에게는 읽히지 않듯이 말이다. 게다가 사이버 폐인들이 만드는 문화는 끝없이 변동중이기 때문이다. 비평가들과 학자들이 따라잡기에는 이들의 변화 속도가 너무 빠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