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다 고코의 요리와 인생 이야기 - 세계 6대륙 30개국의 맛을 찾아 떠난
시노다 고코 지음, 서혜영 옮김 / 이마고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음식은 문화다. 이 ‘진부한’ 문장이 실감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곽재구의 시는 어떨까. “김치찌개 하나 둘러 앉아/저녁식사를 하는 식구들의 모습속에는/하루의 피곤과 침침한 불빛을 넘어서는/어떤 보이지 않는 힘 같은 것이 들어있다. /실한 비계 한 점 아들의 숟가락에 올려 주며/야근 준비는 다 되었니 어머니가 묻고/아버지가 고추잎을 닮은 딸 아이에게/오늘 학교에서 뭘 배웠지 그렇게 얘기할 때/이 따뜻하고 푹신한 서정의 힘 앞에서/어둠은 우리들의 마음과 함께 흔들린다. ”(‘김치찌개 평화론’)

한가족이 둘러앉아 먹는 ‘김치찌개’보다 더 실감나는 한국의 서민문화가 있을까. 일본 여성 시노다 고코는 이를테면 세계 각지의 ‘김치찌개’를 맛보며 다니는 이색적인 여행가다. ‘시노다 고코의 요리와 인생이야기’는 세계 6대륙 30개국을 떠돌며 그 지역의 풍토와 음식에 대해 풀어놓는 독특한 책이다. 그렇다고 이 책이 미식가의 한가한 음식기행이거나 요리를 테마로 한 여행가이드인 것은 아니다.

그녀는 유명한 음식을 먹기 위해 여행하는 식도락가가 아니라 그곳의 소박한 밥상을 통해 삶과 문화를 이야기하는 사람일 뿐이다. “세계를 다 아는 것은 불가능하더라도 음식을 통해 세계를 음미하는 것은 누구라도 할 수 있다”는 게 그녀의 믿음이다. 홍콩에서 자란 일본인으로 여러 나라에서 생활했던 저자는 유명 여행지가 아닌 곳을 음식기행지로 택했다. 아일랜드의 땅끝에서부터 모스크바의 서민가정, 아프리카 사막과 베이징의 거리를 두루 쏘다녔다.

그녀가 알려주는 맛과 인생의 목록은 참으로 다양하다. 독일 함부르크에서 저자는 화이트 아스파라거스의 네덜란드 소스를 맛봤다. 하지만 그 요리를 알려준 독일 아가씨는 교통사고로 죽고 그녀의 아버지와 저자만이 남아 다시 그 요리를 만들지만 거기에 스민 그리움의 맛은 좀처럼 느낄 수 없었다. 영국신사의 집에 초대된 저자는 화려한 성찬이 아닌 귀족의 어린 딸이 사온 크럼펫을 맛보며 무너져 가는 귀족사회의 모습을 실감한다.

아프리카에서 베르베르족에게 대접받은 연록색의 박하차 맛은 신기루 같았다. 그 부족의 천막을 다시 찾으려 했지만 이미 사막 저 너머로 사라지고 없었다. 비즈니스맨이 득시글거리는 뉴욕은 어떤가. 뉴욕의 점심시간에 그녀는 “마치 수류탄처럼 보이는 베이글”을 손에 쥐고 다른 손으로 마우스나 키보드를 두드리는 뉴요커들의 치열한 생존경쟁을 본다.

그녀가 한국에 온다면 어떤 반응일까. 한국인들은 허겁지겁 점심을 먹고 손에 손에 자판기 커피잔을 들고 일터로 향한다. 아프리카나 유럽보다는 뉴욕의 비즈니스맨에 가까운 풍경이다. 물론 저녁시간에 김치찌개 앞에 둘러앉아 온기를 나누는 가족들도 더러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 직업의 다른 말은 밥벌이다. 저자가 음식을 통해 말하려는 것도 그것일 터다. 세계인들이 한그릇 밥을 마련하기 위해 들이는 땀과 눈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