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드샤 칸 ㅣ 역사 인물 찾기 14
에크나스 에아스와란 지음, 김문호 옮김 / 실천문학사 / 2003년 9월
평점 :
아프가니스탄과 옛 인도의 국경부근에는 파탄족이라는 부족이 살고 있었다. 그 일대에 거주하는 부족 가운데 가장 호전적인 집단이다. 그들은 ‘바달’이라 불리는 복수의 의무를 대를 이어 수행한다. 그 때문에 파탄족 남성들의 평균 수명은 서른을 넘기지 못했다. 잔인한 연쇄 복수극의 ‘전통’을 끊은 사람은 한세기 전 출현했던 비폭력적인 이슬람 전사 바드샤 칸이다. 칸은 무슬림의 교리를 충실히 이행한 인물이면서도 이슬람 세계에 비폭력의 전통을 세운 ‘이슬람 세계의 간디’다.
이 책 ‘바드샤 칸’은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동명의 인물에 대한 평전이다. ‘칸’은 마을의 지도자, ‘바드샤’는 왕을 뜻한다. 가장 호전적인 지역을 가장 평화로운 곳으로 만든 그는 자신의 민족으로부터 ‘칸중에서도 왕’(바드샤 칸)이라는 호칭을 부여받았다. 인도가 영국 통치 하에 놓여 있었을 때 그는 영국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인물이었다. 인도 내부에 만연한 폭력을 일소했으며, 가장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영국인들을 몰아냈다. 칸과 간디는 평생의 동지이면서 그들의 신조인 ‘섬김과 자유’를 실천했던 사람들이었다.
그의 비폭력 저항은 세계 최초의 비폭력 군대인 ‘쿠다이 키드마트가르’(신의 종들)를 통해 이뤄졌다. 그들이 수행한 전쟁은 이렇다. “앞에 있던 사람이 총을 맞아 부상을 입어 쓰러지면, 뒤에 있던 사람이 가슴을 풀어헤치고 앞으로 나와 총탄을 막고 나섰다. 어떤 사람은 몸에 총탄을 스물한 발이나 맞았는데, 사람들은 겁에 질리지 않고 당당하게 서 있었다. 결국 그곳에는 부상당하고 죽어가는 자들의 시신이 산더미처럼 쌓이게 되었다.” 칸은 독립에 앞서 중요한 것은 자기 민족 내부의 폭력성이라고 생각해 이런 비폭력 군대를 구상했다. 페샤와르에서 영국인들이 대학살을 자행한 뒤 이 군대의 ‘군인’은 1천명에서 8만명으로 오히려 늘어났다.
바드샤 칸의 생애와 최근 매일이다시피 벌어지는 미국과 이스라엘에 대한 이슬람 전사들의‘자살테러’는 사뭇 대조적이다. 테러의 폭력성 이전에 그 사태를 불러온 이스라엘과 미국의 팔레스타인 정책의 문제점을 먼저 지적하는 게 타당할 것이다. 혹은 무슬림들을 오로지 ‘테러리스트’의 모습으로만 비추는 서구의 ‘미디어 제국’이 우리에게 허깨비를 보여주는 지도 모를 일이다. 이 책은 우리에게 이슬람 세계에 ‘위대한 평화주의자’가 존재했었음을 일깨워준다.
간디가 암살되었듯이 칸의 말년도 순탄하지 않았다. 그의 염원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파키스탄과 분리됐고, 칸은 그 나라의 총리가 되었지만 군사 쿠데타로 결국 아프가니스탄에 망명해야 했다. 그가 1988년 98세를 일기로 사망했을 때 내전 중이던 파탄족은 애도를 위해 하룻동안 전쟁중지를 선언했다. 저자는 “폭력없는 전쟁을 수행함으로써 인류를 한걸음 더 발전시켜 나갈 모든 사람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고 쓰고 있다. 이 ‘하 수상한’ 시절에 바드샤 칸의 생애를 가장 먼저 되새겨야 할 사람들은 누구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