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 튤립의 땅, 모든 자유가 당당한 나라
주경철 지음 / 산처럼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653년 여름, 대만을 떠나 일본으로 향하던 네덜란드 선박이 폭풍우를 만나 제주도에 표류해 왔다. 후일 ‘하멜 표류기’를 써 서구세계에 한국의 존재를 알린 하멜 일행이 바로 그들이었다. 하지만 이들이 한국과 인연을 맺은 최초의 네덜란드인은 아니다. 그들보다 26년 전 조선에 표류해와 아예 눌러 앉은 얀 얀스 벨테브레(한국명 박연)가 역사에 기록된 최초의 네덜란드인 방문자다. 올해는 하멜 일행이 한국에 당도한지 3백50주년이 되는 해로,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은 2003년을 ‘하멜의 해’로 정했다.  

 

한국과 네덜란드의 인연은 각별하다. 이 나라는 월드컵 4강 신화를 남긴 히딩크의 나라로 한국인들에게 뚜렷한 인상을 남겼다. 최근에는 연이은 노동파업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네덜란드 모델이 떠오르면서 또 다시 주목받았다. 하지만 우리에게 네덜란드는 여전히 낯선 나라다. 조선후기의 문인 이덕무는 “그들은 눈이 깊고 코가 길며 머리카락이 모두 붉고 발길이가 1척 2촌인데, 항상 개처럼 한발을 든 채 오줌을 누며, 서양의 예수교를 배워 이를 믿는다”고 말했는데, 현재 우리의 인식 역시 이같은 편견에서 자유롭지는 않을 것이다.  

 

 

‘네덜란드’는 이곳에서 유학생활을 했던 서울대 서양사학과 주경철 교수의 네덜란드 역사 문화기행이다. 저자는 객관적이고 균형잡힌 시각으로 네덜란드의 현재(1부)와 역사적 형성(2부)을 소개한다. 서구가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으로 비 서구 사회를 그려냈다면, 비 서구 사회는 그 역편향인 옥시덴탈리즘(occidentalism)이거나 반대로 맹목적 서구 추종에 빠지곤 했다. 이 책은 타문화 소개서들이 빠지기 쉬운 이같은 ‘편향’에서 벗어난 보기 드문 사례 중 하나일 것이다. 타자는 숭배와 저항의 대상이 아닌, 자기를 비추는 거울이 아니던가.

육지가 바다보다 낮은 네덜란드는 물에 빠져 죽지 않으려면 일단 서로 협력해야 했다. 그들의 ‘사회적 합의’의 토대는 이같은 문화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자본과 노동간의 대타협이 이뤄지고, 우파 정당인 자유당과 좌파 정당인 노동당의 ‘자주색 연정’이 출범한 나라. 국가 주도형 경제성장을 뜻하는 ‘동아시아 발전모델’이 한계에 다다른 지금, 한국 사회가 네덜란드를 주목하는 것도 ‘사회적 합의’의 정신 때문이다. 동성애자 등 소수자에 대한 관용도 타산지석이 될 만하다.

독일·프랑스·영국 등 강대국에 둘러싸인 지정학적 조건에서 ‘작지만 강한 나라’를 만들었던 이 나라의 사례는 미·일·중·러의 틈바구니에서 독자적 생존을 모색해야 하는 우리에게 쓸모있는 참고가 될 것이다. 프랑스인 데카르트와 영국인 로크는 이곳에 머물며 대작들을 펴냈고, 탈근대 철학의 시조가 된 스피노자는 여기에서 철학적 사유를 살찌웠다는 사실도 기억해야 한다. 국가적 자존심은 그 나라의 문화적 역량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