캉디드 혹은 낙관주의 열린책들 세계문학 54
볼테르 지음, 이봉지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이런 묵은 책들을 보는 것도 재미있다. 볼테르라는 '고색창연한' 이름도 그렇고, '캉디드'라는 아주 고전적인(?) 책 제목도 그렇다. 오랫동안 낡은 서가 어딘가에 처박혀 있음직한 책. 새삼 이 책을 들춰 읽게 된 까닭은 얼마 전에 번스타인의 '캔디드(candide)'가 무대에 올랐던 것 때문인데, 그게 이 묵은 책을 내게 상기시켰기 때문이다. 서가 어딘가에 범우사판이 분명히 꽂혀 있었는데, 도무지 찾을 길이 없어 열린책들 판을 사서 읽었다. 이 책을 이미 오래전부터 알았으나 제대로 읽지 않았으니, '캉디드'는 내게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책이었던 것이다. 원래 자신이 읽지 않은 책은 이 세상에 없는 법이 아니던가. 


이솝우화를 보는 느낌이랄까. "이 세상은 최선의 세계"라는 라이프니쯔의 세계관을 철썩같이 믿고 있는 '순진한 청년 캉디드'의 좌충우돌, 종횡무진 모험기인데, 그의 모험담은 우화적인 에피소드로 가득하다. 당대의 종교, 권력, 전쟁에 대한 풍자적 비판이 아주 유머러스한 문체와 스토리 속에 녹아 있다. 주인공 캉디드는 퀴네공드와 키스를 한 '죄'로 귀족의 성에서 쫓겨나 불가리아, 포르투갈, 남미, 페루의 엘도라도, 프랑스, 네덜란드, 베네치아, 터키의 콘스탄티노플을 전전하며 죽다 살아나거나 기적적으로 목숨을 구하거나 기인을 만나거나 죽었던 스승과 옛 애인을 만난다. 우연과 기연(奇然)이 뒤죽박죽으로 반복되는 소설. 볼테르는 엄숙하거나 자못 진지한 체하는 사상가가 아니라 유쾌한 악동처럼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그가 이 작품을 통해 보여주려 한 것은 삶의 아이러니, 곧 이 세계가 최선의 세계라는 순진한 믿음이 배반당하는 과정에 있다. 최선의 세계가 아니라 최악의 세계이거나 최선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정반대의 결과를 낳는다는 것이 그가 말하고자 한 바다. 볼테르의 풍자가 성립될 수 있는 것은 이 스토리가 순진한 믿음을 배반하는 교회를 비롯한 당대의 제도와 관습, 부당한 권력과 인간이 가진 사악한 이기심을 겨냥하기 때문이다. 세계는 추악한 세계이므로 "우리는 우리의 밭을 갈아야 한다"는 것, "인간은 놀기 위해 태어나기 않고 일을 하기 위해 태어났다"는 소박한 근면의 세계. 캉디드와 그의 무리들이 콘스탄티노플의 작은 마을에 정착해 농사를 짓는 이유다. 


캉디드의 거창한 모험 치고는 결말이 너무나 단순한데, 어쨌든 천상의 하늘을 바라보지 말고 네 주변의 땅이나 갈면서 소박하게 살아가라는 게 그의 전언이다. 미인이었던 퀴네공드는 늙고 보니 추녀가 되어 있었고, 세상의 모든 것을 안다고 생각한 철학자는 터키의 한 농부만도 못한 인식을 갖고 있다. 내가 주목한 것 중의 하나는 이 책이 처음 출간된 1761년의 세계상이 이 작품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는 점이다. 남미를 비롯한 신대륙에 대한 경이와 환상(엘도라도), 대항해 시대를 거쳐온 유럽인들의 지리적 인식이 주인공의 모험을 통해 드러난다. 이 길지 않은 작품에 지구의 반 이상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볼테르의 합리주의는 이 전지구적 인식에 근거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