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르시아 전쟁
톰 홀랜드 지음, 이순호 옮김 / 책과함께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우리는 페르시아(Persia)하면 단순히 유럽을 침공하던 중에 그리스 연합군에 의해 마라톤 전투에서 완패하고 이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정복되는 나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실제 페르시아는 아래와 B.C 500년 경 아래와 같은 대제국을 건설한 나라였다. 그저 단순히 역사에 패배자로 남고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대상에 그칠 나라가 아닌 것이다. 그런데 국내에 자세히 페르시아 전쟁에 대해 서술한 책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던 중에 이 책을 발견하고 기쁜 마음에 구입하고 책을 읽기 시작하였다.
페르시아 전쟁에 대해서는 우리는 영화 [300]을 통해 어느 정도는 익숙해져 있을 것이다. 아래 그림이 페르시아 전쟁에 대해 도움이 될만한 그림이다. 즉, 초강대국 페르시아는 약 20~50만의 군대를 이끌고 그리스를 공격하였으나 마라톤 전투에서 그리스의 중장보병의 방진의 힘에 의해 경장갑을 입고 있던 페르시아 육군이 괴멸하고 살라미스 해전에서 그리스 해군을 추격하다 살라미스 만에서 괴멸됨으로써 그리스 정복에 실패하고 말았다. 그러나 전술적으로 보면 중장보병의 힘이 드러난 마라톤 전투는 그 의미가 크며 페르시아가 보여준 정보력에 대해서는 감탄은 자아나게 한다.
이렇게 글쓴이는 실감나게 페르시아 전쟁을 책을 통해 재현하는데 성공하였으나 과거 B.C300~500년 무렵의 사료는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거의 헤로도토스에 의지하여야 하며 존재하는 사료 역시 서로 상반되는 경우가 많아 당시의 역사를 제대로 재현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글쓴이는 이성적으로 수많은 사료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그 당시의 역사를 비교적 있는 그대로 이 책에 담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부담되는 책 분량에도 불구하고 쉽게 읽혀 나가는 역사 소설 보는 듯한 느낌이 드는 서술 방법 역시 높게 평가하고 싶다.
그러나 읽는 내내 글쓴이의 서구중심주의, 오리엔탈리즘은 나를 불편하게 하였다. 완전히 도식화된 선(그리스)과 악(페르시아)의 싸움 공식에 함몰되어 민주주의를 지향하고 상대적 약자인 그리스가, 전제정치를 하고 있으며 초강대국인 페르시아에 그들의 놀라운 용기와 지략으로 승리하여 민주주의를 지켰다는 너무도 일방적인 서술에 그치고 있다. 사료 분석에 있어서는 굉장히 공정하고 많은 노력을 한 글쓴이가 어째서 이런 서술을 하고 있는지 의아스러울 따름이다. 사실상 국내에 페르시아에 대한 책이 없는 상황에서 페르시아에 대해 알고 싶다면 이 책 외에 다른 대안은 없다. 그러나 최소한 글쓴이의 서구중심주의에 대해서는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읽기를 바라는 바이다.
이렇게 글쓴이는 실감나게 페르시아 전쟁을 책을 통해 재현하는데 성공하였으나 과거 B.C300~500년 무렵의 사료는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거의 헤로도토스에 의지하여야 하며 존재하는 사료 역시 서로 상반되는 경우가 많아 당시의 역사를 제대로 재현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글쓴이는 이성적으로 수많은 사료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그 당시의 역사를 비교적 있는 그대로 이 책에 담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부담되는 책 분량에도 불구하고 쉽게 읽혀 나가는 역사 소설 보는 듯한 느낌이 드는 서술 방법 역시 높게 평가하고 싶다.
그러나 읽는 내내 글쓴이의 서구중심주의, 오리엔탈리즘은 나를 불편하게 하였다. 완전히 도식화된 선(그리스)과 악(페르시아)의 싸움 공식에 함몰되어 민주주의를 지향하고 상대적 약자인 그리스가, 전제정치를 하고 있으며 초강대국인 페르시아에 그들의 놀라운 용기와 지략으로 승리하여 민주주의를 지켰다는 너무도 일방적인 서술에 그치고 있다. 사료 분석에 있어서는 굉장히 공정하고 많은 노력을 한 글쓴이가 어째서 이런 서술을 하고 있는지 의아스러울 따름이다. 사실상 국내에 페르시아에 대한 책이 없는 상황에서 페르시아에 대해 알고 싶다면 이 책 외에 다른 대안은 없다. 그러나 최소한 글쓴이의 서구중심주의에 대해서는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읽기를 바라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