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5월에 만났던 최규석 만화가는 자신의 작품집 중 가장 애착이 가고 즐겁게 작업했던 책이 바로 <습지생태보고서>라고 하였다. 최규석 작가의 작품 중 자신의 삶을 다룬 만화책은 <습지생태보고서>와 <대한민국 원주민>인데 <대한민국 원주민>은 작가의 어릴 적 삶을 다룬 만화이고 암울한 현실을 그대로 그려내어 독자로 하여금 동감을 얻어 내었는지는 모르나 위트와 유머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읽고 나서 뭔가 모를 답답함을 느끼게 했는데 비해 <습지생태보고서>는 작가의 화신인 주인공을 포함하여 4명의 남자와 1명의 사슴이 반지하 자취방에서 생활하는 모습을 그대로 담은 것인데 혈기 왕성한 남자 4명이 같이 사는 모습 자체가 흥미롭고 특히 동물인 사슴의 얄미운 모습이 독자로 하여금 웃음을 짓게 한다. 이 책 제목에 있는 [습지]는 첫번째 만화에서 나온대로 '하등생물이 서식한다는 의미'에서 사용했고 [생태보고서]는 '서식하는 종의 생태환경을 드러낸다는 의미'에서 사용하였다. 결국 [습지생태보고서]라는 제목은 대학 생활 당시 친구들과 생활하던 반지하 자취방에 사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 의미하는 것인데 습지로부터 연상되는 축축함, 빠져나올 수 없는 늪 같은 현실을 최규석 만화가 특유의 유머러스함으로 잘 그려내고 있다. 사실 나 역시 초등학교 다니기 전에 반지하방에서 산 기억이 잠시 있을 뿐이고 이렇게 반지하방에서 남자 4명이 같이 산다는 것이 어떤 일인지 알지 못한다. 이른바 [습지]에서 같이 살고 있는 그들의 삶에선 빈궁함이 묻어 나오지만 #10의 [선수]에 나오는 <스코트 니어링 자서전>처럼 이런 소박한 삶을 오히려 축복으로 받아드리려고 노력하고 있는 듯 하다. 다만, 최규석 만화가의 다른 면을 표상하는 것으로 보이는 '녹용이'의 경우 끊임없이 이런 빈궁한 삶을 경멸하고 대다수가 원하는 이른바 멋진 삶(8등신 미녀, 스포츠카, 외국인 친구)등을 갈망한다. 바로 이런 대립을 지켜봄으로써 우리는 어떤 삶이 더 '멋진 삶'인지 진지하게 성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다만 이 책 맨 마지막에 있는 글쓴이의 글에서는 '인간은 양 극단일 수 없다'면서 때가 묻어도 웃으면서 대수롭지 않게 이를 씻어낼 수 있는 것이 자연스럽듯 이런 내면 문제에 있어서도 이런 태도가 자연스러운 것으로 느껴진다고 하였다. 분명 동양 문화권을 이른바 <중용>을 군자가 취해야 할 태도라고 강조하고 현대 사회에 들어감에 따라 한쪽 극단을 취하는 인간은 점점 드물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상황일 수록 오히려 거짓과 불의에 대한 극단적인 엔똘레랑스가 필요하지 않을까? 이런 거짓과 불의에 대해서도 '있을 수 있는 일, 그것 역시 그 나름의 삶'이라고 치부하기엔 아직 나는 젊은 것 같다. 이 책은 [경향신문]에 1년간 연재된 50여편의 만화를 묶어 출판한 최규석 작가 최초의 장편 만화이다. 나는 이 책을 통해 우리 나라 만화의 희망과 미래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단언한다. 최규석 만화가의 책을 읽으면서 척박한 삶에서 우리 만화가 나아가는 길을 옆에서 도와주고 응원해주는 것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