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클래식 - 조우석의 인문학으로 읽는 클래식 음악 이야기
조우석 지음 / 동아시아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아마 이 책을 읽은 거의 모든 사람들은 이 책을 읽으면서 단 한시도 편했던 적이 없었을 것이다. 그건 나 역시도 마찬가지였다. 책 제목이 <굿바이 클래식>이었는데 실제 책 내용은 'Good-bye Classic'이 아니라 'Bad-bye Classcis'이었다. 심지어 악위적으로 느낄 정도로 클래식에 대한 비판으로 점철되어 있는데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고 '이건 또 뭥미?'라고 생각하면서 불편해 했을 것 같다.
 
 나 역시도 이 책을 읽으면서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었으나 과연 이런 '불편함'의 원인이 과연 무엇인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었다. 사실 우리는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것, 다른 것을 만나면 '불편함'을 느끼며 나를 이렇게 불편하게 만드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게 된다. 하지만 과연 불편하게 만드는 것이 '그른 것'인지에 대해서는 판단하지 않기 마련이다.
 
 나를 비롯해 다대수가 이 책을 읽고 느끼는 '불편함'은 바로 이 책에서 기존 클래식에 대한 생각과 상식이 정면으로 도전받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아예 클래식의 까놓고 비판하는 책이다보니 우리가 알고 있던 생각과 '다름'을 느끼게 되고 그 결과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이렇게 불편함을 느끼더라도 내가 알지 못했던 사실과 관점을 알려주는 책은 높게 평가받아야 된다고 생각한다.
 
 사실 이 책에서 들고 있는 여러 이야기들은 나름 일리가 있다. 현재 클래식이 '악보 중심주의'를 넘어 악보를 신성화하고 있어 연주자의 능력, 혹은 해석이 발휘될 토양이 없다는 점이나 클래식 역시 그 당시 대중에게 인기 있었던 대중 음악이었는데 현재에는 대중과는 거리가 먼 음악으로 '박제화'되어 근근이 이어가고 있으며 현대에 새로운 클래식 음악과 작곡이 이루어지지 않아 죽은 음악이라는 점 역시 일리있다. 또한 과거 우리가 모짜르트나 베토벤에 대한 환상에 빠져 있었으나 그들의 친필 악보가 완전무결한 것이 아닌 고침으로 점철되어 있다는 것도 흥미로웠고 클래식을 듣게 되면 감정이 가라앉게 되고 똑똑해 진다는 속설 역시 근거 없음을 이 책은 명백히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여러 음악 중에서 유일하게 연주자와 관객이 완전히 분리된 형태를 취하여 관객이 능동적으로 음악에 개입할 수 없다는 점 역시 근거있다.
 
 결국 글쓴이는 클래식은 말 그대로 '죽은 음악'이고 현대 철학과 같이 너무 형이상학적으로 '아름다운 음악'만을 추구하여 현실과 동 떨어져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런 것이 '불편함'의 근원이라 보인다. 우리는 흔히 클래식을 가장 이상적인 음악으로 생각해 왔으나 이 책은 이런 편견을 아예 깨부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위악적으로 보일 정도이고 이 책을 읽는 내내 불편함을 가질 수 밖에 없지만 이렇게 우리의 '편견'을 깨줄 수 있는 책은 그 자체로 가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불편하지만 중립적으로 읽어 본다면 음악에 대한 우리의 시야를 넓어줄 수 있는 좋은 책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