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의자 X의 헌신 - 제134회 나오키상 수상작 ㅣ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3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현대문학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정말 오랜만에 책을 읽고 리뷰를 쓰는 것 같다. 그동안 책을 읽을 여유가 없었다고 말한다면 핑계겠지만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법전을 제외한 다른 책에 손이 쉽게 가지 않았다. 하지만 이놈의 "책에 대한 욕심" 하나는 수험 기간에도 변함이 없어서 읽지도 못할 책을 꾸준히 사 모으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이 책 <용의자 X의 헌신>이었다.
이 책에 대해 살피기에 앞서 잠시만 한/일 추리소설계에 대해 이야기 하자면 사실상 대한민국 추리소설계는 이미 황폐화질대로 황폐화해져서 1년에 그럴듯한 추리소설 한 권이 나오지 않는 현실이다. 그에 비해 일본에서는 꾸준히 추리소설이 출판되고 있으며 그 등용문이 되는 것이 바로 <에도가와란보상>과 <일본추리작가협회상>이다. 이 작품의 글쓴이인 "히가시노 게이고" 역시 위 2개의 상을 수상하면서 추리소설 작가의 길을 걸었으며 제 134회 나오키상을 수상하고 영화로도 만들어진 <용의자 X의 헌신>을 발표하게 되었다. 언제쯤 한국에도 내세울 만한 추리소설이 발표될 수 있을까? 계속 셜록 홈즈와 괴도 뤼팽만 읽을 수는 없는 것 아닌가?
각설하고 이 책의 트릭은 솔직히 나는 간파하지 못했다. 앞에서부터 끝까지 글쓴이는 독자의 시선을 <알리바이>에 맞춰 놓고 실제로는 알리바이가 아닌 <시체의 신원>에 트릭을 숨겨 놓았다. 사실 한동안 유행했던 사건을 조사하는 사람이 범인인 추리소설일까 의심도 해보았으나 작가와의 머리 싸움에서는 패배하게 되었다. 일단 나를 이겼으니 트릭 면에서는 높은 평가를 줄 수 있으나 뭔가 부족한 듯한 느낌이 드는 것은 왜일까?
물론 "이건 추리소설로 위장한 거룩한 사랑의 기록이다."라고 평가하신 분의 생각에 동의는 하지만 역시 마무리가 조금 아쉽다. 자수로 끝내지 않고 좀 더 감동을 줄 수 있는 마무리가 좋지 않았을까? 특히 마무리 부분은 너무 서둘러 마무리 지은 감도 있다. 특히 친구인 천재 수학자가 진실에 다가선다고 바로 자수해 버리는 장면이 나오는데 천재 수학자와 천재 물리학자의 본격적인 대결을 기대하고 있던 나에게는 분명 아쉬운 면이다.
그래도 이 책을 보면 일본에는 꾸준히 추리소설이 인기를 끌고 있는 모양이다. 전에 읽었던 <13계단> 역시 감탄을 자아나게 했고 한국에도 꾸준히 판매되고 있는 <명탐정 코난>이나 <김전일> 같은 만화책도 꾸준히 팔리는 것을 보면 옆동네가 부러워 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한국에도 멋진 추리소설이 나오기를 기대하며 리뷰를 마무리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