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
공지영 지음 / 오픈하우스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원래 소설을 좋아하는 편이 아니다. 분명 소설은 다른 종류의 책에 비해서 '빨리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어차피 소설은 '픽션'이고 '허구'이기 대문에 소설을 읽으면서 얻은 감동은 시간이 지날때마다 희미해져서 계속 다른 소설을 읽어서 감정을 깨우지 않으면 남는 것이 없을 뿐더러 요새 2MB가 그렇게 강조하는 '실용'이란 측면에서도 소설은 별 의미가 없어 보인다.

 현대는 하루가 다르게 지식이 발전하고 수많은 책들이 출판되고 있다. 본인의 경우 학생이란 신분으로 최대한 책을 많이 읽어도 1년에 100권 정도인데 인류사에 큰 족적을 남긴 고전도 읽어야 하고 트렌드에 뒤쳐지지 않으려면 신간도 꾸준히 읽어야 하는데 연간 100권의 독서량으로도 부족함을 느긴다. 그렇다면 어차피 1년에 읽을 수 있는 책의 수에 한계가 있다면 인문/사회 과학이나 자연과학 책을 먼저 읽는 것이 소설을 읽는 것보다 도움이 되지 않을까? 그래서 나는 일부러 소설 책을 찾아서 읽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 책은 영화로 제작된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의 글쓴이로 유명한 공지영의 산문집인데 내가 개인적으로 굉장히 존경하고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멘토로부터 선물로 받은 책이었다. 또한 계속된 인문/사회 과학, 자연 과학 책 읽기에 지쳐가고 있었고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에서 공지영이라는 작가에 대해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결정적으로 책의 분량이 적었기 때문에 공부하다가 지칠 때마다 꺼내서 읽게 되었다.

 솔직히 책 초반에는 공지영의 삶에서 체득한 여러 가지 교훈을 딸에게 전하는 편지글 형태로 풀어내는 공지영의 글솜씨에 빠져서 흥미있게 읽었다. 특히 <잘 헤어질 남자를 만나라><그게 사랑인 줄 알았던 거야>는 나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주었다. 그런데 점점 읽어갈수록 자꾸 공지영의 이중적인 모습이 거슬리기 시작했다. '사랑'에 대해 딸 위녕에게 이야기할 때는 그런 모습을 찾기 힘들었으나 '어떤 삶을 살아라'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그런 모순을 느낄 수 있었다.

 즉 공지영 자신도 이 책에서 말하듯이 "꿈꾸던 딸은 늘 전교에서 1등을 해야 하고, 선생님들에게 칭찬은 도맡아 받고, 키는 크고 얼굴은 예쁘고(네 아빠와 엄마가 네게 물려준 유전자와는 아무 상관도 없이) 몸매는 미인대회에 나갈 정도지만 그런 대회에는 결코 나갈 생각이 없이 늘 세계 명작을 읽고 있는 데다가, 영어는 기본으로 잘하고 거기에다가 약간의 프랑스어와 일본어를 하며(중국어도 괜찮아), 집에서는 동생들을 잘 돌보는 누나이고 엄마에게는 늘 대견하며 아빠에게는 애굣덩어리인…"(p.254) 딸을 원하면서도 이 책의 제목은 <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이다. 결국 딸에게 하고 싶은 말은 '성실하게 살아라.' '최선을 다하라'는 말인데 한 꺼풀 벗겨내면 결국 '열공해라' 아닌가? 이런 모순때문에 공지영의 말이 딸에게도 잔소리로 들렸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공지영의 충고에 "나는 이미 최선을 다해서 성실히 살고 있으니 당신이나 이중적인 모습을 버리고 너나 잘하세요."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이렇게 쓰면 분명 공지영은 "터무니없는 오해와 편견으로 상처받는다"(p.29)라고 했지만 어쩌겠는가? 어차피 독자의 터무니없는 오해와 편견도 이 책을 통해 생긴 것이니 이런 것이 싫다면 오해와 편견이 없도록 쓰면 되는 것 아닌가? 그리고 스스로 글을 쓰는 것은 먹고 살기 위해서(p.219)라고 이야기하면서 창작 작업으로 폼 잡는 사람이 꼴불견이다라고 했는데 나는 이 책을 내가 먹고 살기 위한 작업을 통해 번 돈으로 산 것이니 나의 생각을 떳떳이 밝힐 자격이 있는 것이다.

 혹시 공지영 작가가 이런 리뷰 글로 상처를 입는다면 글을 쓰는 일을 멈추기 바란다. 상처 받는 것이 두렵고 힘들면 글을 안 쓰면 되는 것이지 글을 쓰고 발표하고 책으로 출판해서 다른 사람이 많이 사서 읽기를 바라면서 남이 칭찬만 해주기를 원하는 것은 대체 무슨 심보란 말인가? 이제 공지영 작가도 스스로의 "오해와 편견"에서 자유로워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