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라이더가 간다 - 21개국 3,4000km 232일간의 논스톱 모터사이클 세계 횡단
김영빈 지음 / 샘터사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요새 안그래도 [독도] 문제로 한/일 관계가 시끄럽다. 독도 영유권 주장을 통해 이후 국제사법재판소로 독도 문제를 가져가려는 일본의 전략에 대한 대한민국의 대응은 과거까지는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바탕으로 독도를 국제법상 분쟁 구역으로 만들지 않기 위한 소극적 대응이었다. 그래서 TV 뉴스에서도 울릉도의 날씨만 알려주었으며 독도의 취재 등은 허락되지 않았었다. 그러던 것이 몇 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TV 뉴스에 울릉도의 날씨 뿐만 아니라 독도의 날씨도 같이 알려주기 시작하였으며 경찰 소속의 독도경비대가 독도에 주둔하게 되고 몇몇 TV 프로그램의 독도 취재를 허락하기도 하는 등 많은 변화를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런 정부 차원의 변화와 노력이 과연 올바른 길인가라는 질문은 접어두더라도 정부 차원의 노력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민간 차원의 많은 노력과 지원이 계속되고 있다.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나 사비로 미국 신문에 독도 광고를 실은 사람들 등 많은 노력이 있었다. 이런 민간 차원의 노력의 하나로 독도를 알리기 위해 2006년 3월부터 21개국 34,000㎞, 232일간의 모터사이클로 세계를 횡단한 [독도 라이더]의 여행기가 지금 내 앞에 있다.

 사실 이 책 자체는 많은 사진과 함께 모터사이클로 힘들지만 세계에 독도를 알리려고 했던 대학생들의 땀과 노력이 그대로 스며들어있다. 그러나 객관적으로 이 책을 평가하자면 그렇게 마음에 드는 책은 아니다. 분명 이 책은 일종의 여행기이자 기행문인데 여행 기간이 길어서 그런 것인지 하나 하나의 깊이가 부족한 듯한 느낌이고 마치 일기를 읽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그리고 정부와 기업에서 많은 도움을 받아서 그런지 정부와 기업을 보는 눈이 너무 편향되어 있으며 그리고 21개국을 돌아다니면서 각 나라에 대한 시선도 그렇게 공평하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또한 결정적으로 이 책에서도 학벌과 인맥의 힘을 느낄 수 있다는 점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본인도 이 책의 글쓴이 중의 한 명과 같은 학교를 나와서 나름 학벌의 힘을 느끼고 있지만 솔직히 말해서 과연 그들이 이렇게 명문대학생이 아니었어도 과연 정부와 기업에서 이렇게 많이 도와주었을까라는 물음을 던지게 된다. 그리고 독도를 알리는 것은 둘째가 된 것 같고 모터사이클 여행이 중심이 되고 자기 자랑이 많다는 같은 느낌을 받는 점도 그렇게 좋아보이지 않는다. 

 어쨌든 머나먼 타지까지 나가서 독도를 알리려고 한 노력은 가상하지만 책 자체는 좋은 평가를 내리기 힘든 것 같다. 어쨌든 한 번 대학생들이 어떻게 모터사이클로 세계 일주를 할 수 있었는지 알고 싶다면 한 번 읽어 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