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섭 - 지식의 대통합 사이언스 클래식 5
에드워드 윌슨 지음, 최재천.장대익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새 [통섭]이 많이 언급되고 있다. 다양한 곳에서 [통섭]이란 이름이 쓰이며 연구 공간이 대학교 뿐만 아니라 이제는 상업적으로도 [통섭]은 거스를 수 없는 트렌드가 되어 가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과연 [통섭]이 무엇인가에 대해 알고 있고 이 책을 실제 다 읽은 사람은 드문 것 같다. 본인의 경우에도 이 책의 출판사인 '사이언스북스''사이언스클래식'의 질에 대해서는 굉장히 높은 평가를 하고 있어서 전부 책을 사는 편이지만 이 책의 경우에는 선듯 손이 가지 않았다. 아무리 생각해도 [통섭]이란 단어에서 느껴지는 난해함이 이에 한 몫 한 것 같다.  그러던 중에 이화여대 통섭원에서 통섭읽기 모임을 하면서 왠지 어려워 보이는 이 책에 도전하게 되었다.

 

 먼저 왜 옮긴이는 최재천 박사님이 다른 단어를 두고 굳이 [통섭]이란 단어를 선택했지는지 밝히는 것이 중요한 일인 것 같다. 사실 '통합'이나 다른 많이 알려진 단어도 많았음에도 최재천 박사님은 [통섭]이란 단어의 생소함을 통해서 에드워드 윌슨이 진정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Consilience의 뜻을 완벽히 보완하고자 하였다고 머릿말에서 밝히고 있다. 물론 그 의도는 동감하지만 책 제목에서 과연 이 책의 내용이 무엇인지 와닿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단점이 있는 듯 하다.

 

 이 책에서 글쓴이인 에드워드 윌슨은 자연과학에의 진보에 대한 확실한 믿음과 신념을 바탕으로 우리는 객관적인 진리에 이를 수 있을 것이며 자연과학, 그 중에서도 생물학을 통해 다양한 인문사회과학과 문화 심지어 예술과 종교까지도 설명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물론 본인도 그동안 평행선을 긋고 있었던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만남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글쓴이의 의견에 100% 동감하는 바이다. 그러나 문화, 예술, 종교까지도 생물학 그 중에서도 진화론에 입각하여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점은 이와 무관한 본인이 읽기에도 생물학에 대한 과신과 함께 현재의 주류는 생물학이다라는 오만함 마저도 느끼게 하였는데 예술과 종교 관계자 입장에서는 굉장히 불쾌할 것 같다는 생을 하게 된다. 괜히 이 책에 대한 비판으로 "생물학 제국주의다"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책에서 너무도 다양한 비유(대표적으로 몽사)와 다양한 자연과학적 발견과 실험을 제시한 나머지 오히려 이에 파묻혀서 진정 에드워드 윌슨이 하고자 하는 줄기를 잡기가 어려운 느낌을 받고 있다.

 

 하지만 그 외에서 이 책에서 주장하는 [통섭]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더이상 거스를 수 없는 경향이 되어 가고 있는 듯 하다. 그리고 최재천, 장대익 박사님의 번역 또한 비교적 말끔하여 비록 생물학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과학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고서는 조금 이해하기 힘들지만 비교적 될 수 있는 한 쉽게 번역하려고 노력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말로만 [통섭]을 외치기 전에 최소한 이 책이라도 완독을 한 후에 이야기를 해보는 것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