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인간학 - 어진 사람은 적이 없다
렁청진 지음, 김태성 옮김 / 21세기북스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동안 춘추시대 중국의 사상에 대해 관심이 많았지만 유가를 대표하는 <논어>와 <맹자>는 솔직히 부담이 많이 되서 읽기에 저어하였다. 그러던 중에 <CEO 인간학>이란 시리즈 물로 춘추시대 중국 사상 중에서 경영의 지혜라는 엑기스만 쉽게 얻을 수 있는 책이 출판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이 책은 춘추시대 사상을 통해 사람과 시대를 움직이는 경영의 지혜를 찾을 목적으로 기획된 <CEO 인간학> 시리즈 중 첫번째 것으로 춘추전국시대의 <유가(儒家)>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한가지 궁금증이 든다. 과연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 특히 <유가(儒家)>가 현대 사회, 특히 경영에 적용이 될까? 이 책에서는 글쓴이는 유가의 지혜가 구체적으로 발휘되는 형식은 인술(仁術)이고 인술의 구체적인 표현형식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인데 이를 통해 유가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방법에 대해 이론적 체계와 실천적 방법들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유가의 지혜는 여전히 중국인들의 사유체계를 지배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 특히 사람을 움직이는 경영에 대해 현재에도 그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결국 이 책은 유가를 대상으로 함으로써 <사람>을 중심으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책은 총 5개의 큰마당과 24개의 작은마당으로 각각의 마당에 맞는 역사상의 에피소드를 소개하고 있다. 특히 인상깊은 것이 첫번째 작은 마당에서 소개한 송나라 양공(襄公)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는 맹주가 되고 싶어했으나 인의로 무력을 무너뜨리겠다는 망상을 가지고 전쟁터에서 전열을 갖추지 못한 초나라 군대를 공격하지 않아서 패배하고 말았다. 이에 대해 특히 실질에서 벗어나 공론만 일삼거나 현실적 힘이 뒷받침되지 않는 공허한 주장과 이론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양공이 주장했던 '인의의 군대'와
다름이 없을 것이라고 글쓴이는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어서 제나라 환공의 뒤를 이어 두번째 패자가 된 진의 문공 중이(重耳)의 에피소드를 통해 '물러남을 나아감으로 여긴다'는 이퇴위진(以退爲進)의 처세방식을 강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후퇴하여 진격하는'전략이 목적하는 바도 궁극적으로 '나아감(進)'에 있는 것이지 '물러섬'에 있는 것이 아니며 이를 추구하지 않는다면 이는 도피주의나 패배주의라는 오명을 벗기 어려울 것이라는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 책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제나라의 안영이란 인물은 굉장히 흥미롭다. 제나라에는 두 명의 명재상이 있었는데 그 중 첫번째가 그 유명한 관중이고 두번째가 안영이란 인물이다. 그동안 관중에 대한 이야기는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 등을 통해 많이 알려져 있으나 안영이란 인물은 지금 처음 알게 된 인물이었다. 그는 직언과 간언으로 유명하였는데 자세히 언급하기는 힘들지만 그의 간언 기교는 오늘날에도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솔직히 현재 우리나라를 보면 과연 높은 분들에게 간언을 하는 사람이 있는지 궁금할 때가 많다. 과연 우리나라에 안영이 없는 것일까? 아니면 이렇게 간언을 하는 안영을 죽이지 않고 대체로 받아 들였던 경공같은 인물이 없는 것일까?

 

 이와 같이 유가를 통해 유가에서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생각했던 '군자(君者)'와 '성인(聖人)'의 리더쉽을 발휘하도록 이 책은 도와주고 있다. 참고로 이 책은 유가, 도가, 법가, 병가, 종횡가 이렇게 총 5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에서 유가를 통해 사람을 움직이는 경영에 배울 수 있었으며 앞으로 계속되는 책을 통해 나머지 사상이 현대에서 의미하는 바를 배울 수 있기를 희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