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론 한길사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42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지음, 김창성 옮김 / 한길사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선택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굉장히 다양하지만 '출판사' 또한 책을 선택하는 좋은 기준이 될 수 있다. 얼마전에 '니콜로 마키아벨리'[로마사 논고]를 읽으면서 '한길사''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라는 이름으로 우리 시대 기초학문의 부흥을 이헤 한국학술진흥재단과 한길사가 공동으로 펼치는 서양고전 번역간행사업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 사업의 결과로 지금까지 43권의 서양고전이 번역되었고 가장 최근에 번역된 책이 이 책이다.
 

 솔직히 말해서 현재 한국사회에서 '고전'이라 함은 '아무도 읽지 않는 책'을 뜻하게 되었다. 힘들게 고전을 번역해봤자 변역자가 정당한 연구성과로 인정받기도 쉽지 않으며 출판사 또한 '아무도 읽지 않는 책'이므로 많은 판매량을 기록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길사'는 꾸준히 서양고전 번역사업을 펼쳐왔으며 번역의 '질' 또한 굉장히 좋은 편이다. 이렇게 좋은 인상을 가지고 있었던 중에 중앙도서관에서 '플라톤'[국가]를 읽기 위해 책을 찾던 중에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고 '플라톤' [국가]의 엄청난 두께에 질린 상태에서 일견 얇아 보이는 이 책은 나의 시선을 끌게 되었다.

 

 이 책은 로마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넘어가던 로마 정치사 한가운데서 공화정을 수호하던 정치가이자 그리스와 로마로 표방되는 서양 고대문학의 대가 가운데 한 명인 '키케로'가 쓴 책으로 로마 공화정 역사에 비추어 본 이상국가론, 로마의 정치 파국을 막아보려는 진지한 충언, 인간 존엄성의 천명, 인간 개개인이 인류와 우주에 참여하는 존재라는 보편사상을 피력하고 있는 책이다. '키케로'가 살던 로마는 로마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넘어가는 시기로 기원전 323년 아리스토텔레스가 죽은 이후로 기원전 1세기 중엽까지 정치사상의 측면에서 특출한 사상가가 등장하지 않았으며 그리스의 폴리스 국가에서 로마의 제국으로 넘어가는 시대에서 과거의 정치사상은 그 한계를 노출하게 된 상태였다.

 

 이런 상태에서 스토아 사상의 전통을 계승한 '파나이티오스(Panaitios)'이다. 그가 계승한 '스토아 사상'은 모든 인종과 국가를 초월해 범서계적이라 할 수 있는 법 그리고 모든 관습을 넘어서는 보편적 윤리를 표방하는 스토아 사상만큼 로마의 지배라는 현실과 부합할 수 있는 사상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의 혼합정체(The Mixed Constitution) 사상은 로마의 정치에 지대한 영행을 미치게 되었다. 혼합정체사상이란 순수한 정치 체제인 왕정, 귀족정, 민주정의 요소가 혼합된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당시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으로 인해 위협을 받았던 원로원의 입장에서 균형을 지지하는 혼합정체사상은 이에 대한 저항의 이념적인 도구로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

 

 특히 기원전 133년은 로마의 역사에서 굉장히 중요한 분기점이 된 시기였다. 당시 로마는 라티푼디움(latifundium)이라는 대농장이 로마의 경제를 좌지우지 하였으며 기원전 120~130년 사이의 흉작은 기원전 140년 대비 기원전 127년의 곡가의 1200퍼센트 급등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도시에 밀집해서 살던 빈민은 생사의 갈림길에 놓이게 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른바 '그라쿠싀 형제의 개혁'이 실행하게 되었다. 형인 티베리우스는 농지법(lex agraria)를 동생인 가이우스는 곡물법(lex frumentaria)를 제정하였는데 이 법이 제정됨으로써 기존에 소유하고 있던 농지를 몰수되게 될 상황에 놓인 귀족들의 습격으로 두 형제는 명을 달리하게 되지만 이들은 죽어서 더 큰 힘을 발휘하게 되었다. 즉 수많은 정치가들이 등장해 그라쿠스 형제를 모방하여 평민을 위한다는 구실로 평민회를 중심으로 정치야심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결국 옥타비우스가 황제로 즉위하면서 로마 공화정은 그 끝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렇게 혼란이 계속된 상황에서 통령의 지위에 있었던 키케로는 [국가론]을 통해 자신의 정치사상을 피력하게 된다. 즉 키케로는 정치생활이야말로 인간이 성취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으며 신과 이성을 동일시하면서 강한 어조로 참된 법이란 바로 신의 의지와 통치의 표현이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키케로는 필루스의 입을 빌려서 불의(義)가 국가의 통치에 필요하다는 일반론을 제시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그러한 이해가 그릇된 것이고 참다운 정의가 없다면 국가의 유지는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결론적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국가론]에서는 '어떤 형태의 국가가 최선의 상태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하고 있는데 이에 키케로는 당시 로마인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폴리비오스의 정체순환론'을 설명한다. 즉 '폴리비오스의 정체순환론'는 현존하는 모든 정부는 왕정, 귀족정, 민주정의 형태 중 하나에 해당하며 각 형태는 나름대로의 타락한 형태를 지닌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수정한 '키케로'는 이상적인 국가는 위 세가지 정치체제가 혼합된 혼합정체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실제로는 '민주정'이 세 가지 형태 중 최악의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이후 혼란한 로마 정치나 키케로 자신 또한 귀족 출신이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당연한 주장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굉장히 이해하게 난해한 책이다. 왜냐하면 이 책은 여러 곳에서 인용하고 있었으나 [국가론]이 우리에게 알려진 것은 1822년이 되어서 였으며 그것도 온전한 상태로 발견된 것이 아니라 팔림프세스트(Palimpsest)라고 해서 아우구스티누스가 남긴 시편주석 글씨 밑에서 지워진 상태의 다른 서체로 작성된 것을 바티칸 도서관 관장인 마이가 판독해 출간함으로써 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존재하는 것은 실제의 1/4~1/3 정도의 분량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배열 순서도 학자마다 다를 정도로 온전하지 못한 상태이다. 그 결과 [국가론]을 인용하고 있는 다른 책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있으나 이해하기 난해한 것은 변하지 않았다.

 

 이렇게 일반적인 고전과 달리 매우 까다로운 편집과 교정이 필요한 저술인데도 이를 무난히 소화한 한길사 편집진의 노력과 능력은 높게 평가할 만 하다. 하지만 한가지 아쉬운 점은 주석에 있어서 이 책의 다른 곳을 인용할 때는 어떤 경우는 페이지로 나타나고 어떤 경우는 소제목 번호로 나타내는 등 일관성이 부족한 점은 아쉽다. 하지만 많이 팔리지도 않는 서양 고전을 처음으로 번역한 '초역'이란 면에서 출판사에게 높은 평가를 내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