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는 혼자하는 작업이지만 이렇게 하면 미래의 나와 같이 작업할 수 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랑 치타가 달려간다 - 2009 제3회 블루픽션상 수상작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40
박선희 지음 / 비룡소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에도 그랬을까. 혹은, 나도 그랬을까.

아니면 이제 내가 나이가 들어서 그런 걸까.

과거에는 그저, '자기가 할 나름'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점점 당연하지 않게 여겨지고, 좌충우돌하는 아이들이 안쓰럽고, 상처받은 아이들이 눈에 더 잘 뜨이고, 그게 다 어른들 탓인 것 같고 그렇다.

 

더 자유로운 시대라는 말은 하기 좋은 말이고, 요즘 아이들에게 진정한 '자유'라는 게 있나 싶다. 아이들은 인터넷을 하고 게임을 하면서 매일매일 놀면 자유롭다고 느낄 지 모르겠지만, 잘 생각해보면 아이들은 제 판단으로 그 생활을 '선택'한 게 아니다.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폰이 있었고, 판단이 미숙할 때 그걸 골랐고, 그 중독성 강한 걸 일찍부터 접하면서 다른 선택지는 모두 박탈당한 것이다. 

 

밖에 나가봐야 산도 들도 없고, 놀이터에는 친구도 없고, 학원에 다니느라 하루를 다 소진하고 나면 생각이니 뭐니 다 귀찮고. 그러다 어느 날 정신 차리면 낙오자가 되어 있고. 그렇다고 공부 안하고 알바를 시작하니 부당함에 시달리고. 

 

헬리콥터엄마의 집요한 감시 속에서 친구를 빼앗기고 왕따까지 당한 도윤이

콩이 부서져서 이제는 가루도 남지 않은 집에서 나와 알바를 하며 생활하는 강호.

 

여기에는 그렇게 안으로 밖으로 상처입은 아이들을 잘 보여준다. 가정으로부터 학교, 사회에 부딪치는 아이들은 점점 자라면서 적응하거나 혹은 변화하려 할 것이다. 그들의 선택은 결국 의문으로 남을 수밖에 없지만, 어느 방향이 되었든 앞으로 나아가기를 응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방관자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19
제임스 프렐러 지음, 김상우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커가 진화한다. 그래서 사이버 범죄는 늘어나고 우리는 언제든 해킹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사이버 범죄 수사도 발전한다. 화이트 해커가 생겨나고 예기치 않은 공격을 때로 막아내고 때로 막아내지 못하며 그렇게 사이버 세계가 굴러간다. 


마치 이것과 같다. 학교폭력이란 것. 

물론, 학교 폭력은 사이버세계처럼 없다가 생겨난 것은 아니다. 원래 존재했으나,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다가 그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교육 문제의 화두로 떠올랐다. 이지매, 왕따라는 단어에서 시작한 학교 폭력이 점점 조직화되고 진화하는 동안 이를 막아내기 위한 교육의 방식과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관점도 진화해왔다. 


이 방관자라는 개념이 진화의 결과물이다. 


학교폭력 문제에 있어 우리는 꽤 오린 기간동안 가해자와 피해자에 집중했다. 가해자들을 가려내고 피해자의 피해 사실을 밝히는 것. 그게 중요했다. 사건이 발생하면 으레 경찰서에서 그렇게 하듯이. 하지만 학교 폭력은 매우 특수한 상황에서 일어난다. 우발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고, 대개 지속적으로 일어나며 아주 많은 부분이 감춰져 있다. 


그러한 특수한 상황을 따져나가다 드러나게 된 존재들이 이 방관자들이다. 가해 다수가 피해 소수를 괴롭혔다고 보면 힘의 우위가 분명한 것 같지만, 생각해보면 이 가해와 피해 사이에는 다수의 학생들이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말릴 기회, 혹은 신고학 기회가 무수히 많았다. 그런데도 왜 이들은 움직이지 않았는가.


소설 시작 부분에서 에릭은 할렌백에게 '난 나쁜 아이가 아니'라고 말한다. 피해자인 할렌백에게 에릭은 과연 '나쁘지' 않았을까. 나중에 그가 에릭을 희생물 삼을 때에도 그의 죄책감을 덜어준 것은 한때 에릭이 바로 그 '방관자' 즉, '나쁜' 존재였기 때문이 아닐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릭이 방관자가 되지 않기 위해 선택한 길이 곧 피해자의 길로 들어서는 길이었음에 우리는 집중해야 한다. 수많은 방관자들이 두려워하는 미래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는 아이들이 방관자가 되지 않으려 스스로의 용기를 북돋워야 한다면 이를 함께 읽는 어른들은 생각해야 한다. 우리 아이가 피해자가 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가 아니라, 방관자가 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부머리 독서법 -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독서교육의 모든 것
최승필 지음 / 책구루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정말로 안 읽는다.'는 말과 '성공한 사람들은 독서광이다.'라는 말. 

두 말이 모두 참이라면, '성공하려면 지금보다 더 독서를 해야한다.' 또는 '독서를 하지 않는 이들은 성공하기가 어렵다.'이다. 그러니까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열심히 책을 읽자고 외쳐야 하는데, 꼭 그렇지는 않다. 

엄마들은 아이가 초등학교에 다닐 때까지는 책에 관심을 갖다가 서서히 교과서로 넘어간다. 수학을 따라가기 어렵고, 영어를 외우기에는 늦었다. 어학 연수도 가야 하고 학원도 다녀야 하고, 틈틈이 대학에서 바라는 스펙도 쌓아야 하고. 

독서는 그 스펙중에 한 줄이 되기 십상이다. 그래서 강제로 독서 읽기를 장려하고 있는 지금에 와서도 책을 읽는 인구가 그다지 늘어나지 않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공부머리 독서법은 '독서'를 하면 저절로 '공부'가 된다고 말하고 있다. 그것도 그다지 힘을 들이지 않고 시간까지 절약할 수 있다고 말이다. 그 자세한 과정은 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내 생각에는 거의 다 맞는 말이었다. 


작가의 경험에도 적혀 있지만, 내 경험도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나, 초등학교 우등생이 중학생이 되어서 크게 학력이 떨어지더라는 말에 깜짝 놀랐다. 그동안 숱하게 보아왔던 아이들이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그 원인을 지나친 사교육 의존이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나는 초등에서 제대로 평가하지 못해 아이들이 자기 실력을 착각했던 거라고 여겼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은 정말로 '우수'했었으나, 독서가 부족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해보면 당연하다. 학원을 서너개 다니면서 어느 시간에 독서를 했겠는가.)


극단적으로 말해, 지식이 늘어나는 것은 어휘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우리가 어려운 말을 못 알아듣는 것은 그것을 읽거나 쓸 줄 몰라서가 아니다. 그 의미를 이해하고 충분히 받아들여 '사용'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느 분야의 전문 용어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 그 분야의 전문가이다. 그렇게 되기까지 그토록 오랜 시간 공을 들이는 것이다. 그렇게 따지면 독서가 중요함은 명백하다. 새로운 어휘를 쉽게 받아들이는 데 독서만한 것이 있을까. 


아무쪼록 이 책이 엄마들에게 널리 읽혀서 아이들을 가두고 지식을 주입하는 교육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생각하게 하는 교육으로, 책을 사랑하고 어디서든 책을 꺼내 읽는 아이들을 길러내는 교육으로 우리의 교육 문화가 변화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의 무기가 되는 심리학 -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50가지 심리 기술
레온 빈트샤이트 지음, 장혜경 옮김 / 심플라이프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이 재미있는 이유는 내 삶의 많은 부분을 설명해 주기 때문이다. 혹은 다른 사람의 행동의 이유를 이해하게 해 주기도 한다. 행동의 이유를 알게 되면 생각보다 많은 분노를 잠재울 수 있다. 물론 모든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챕터가 짧고 유머를 섞은 글이라 정말 잘 읽혔다. 교양으로 심리학 책을 읽고 싶다거나, 시간이 없어서 짤막한 틈에 책을 읽어야 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할만하다.

그럼에도 나는 장기적으로는 ‘친절하되 신중하게‘ 주고받는 게 좋다고 확신한다. 여기서 친절하다는 건 가급적 먼저 베풀라‘는 뜻이다. ‘신중‘하다는 건 누군가 내게 베푼다면 그 사람을조금 더 조심하라‘는 의미이다.
- P229

길로비치의 결론도 다르지 않았다. 실제로 돈을 주고 산 경험이돈을 주고 산 물건보다 훨씬 자아상의 많은 부분을 형성한다. 우리의 삶은 경험의 합계이다. 경험이 많으면 삶이 더 행복해진다. 반면에 물질이 많다고 해서 반드시 더 행복해지지는 않는다. 물질 소비가 중요해 보이지만 물건은 자아의 형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P3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