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하브루타 디베이트 밀키트
고현승.정진우 지음 / 글라이더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정에서 아이들과 할 수 있는 생활 토론 주제가 있어서 좋다. 밀키트라는 제목에 맞게 디베이트방법이나 하브루타 방법이 음식재료처럼 소개되어 있는데, 누군가에게는 재미있겠지만, 내게는 오히려 헷갈리는 요소라 아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부머리 독서법 -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독서교육의 모든 것
최승필 지음 / 책구루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정말로 안 읽는다.'는 말과 '성공한 사람들은 독서광이다.'라는 말. 

두 말이 모두 참이라면, '성공하려면 지금보다 더 독서를 해야한다.' 또는 '독서를 하지 않는 이들은 성공하기가 어렵다.'이다. 그러니까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열심히 책을 읽자고 외쳐야 하는데, 꼭 그렇지는 않다. 

엄마들은 아이가 초등학교에 다닐 때까지는 책에 관심을 갖다가 서서히 교과서로 넘어간다. 수학을 따라가기 어렵고, 영어를 외우기에는 늦었다. 어학 연수도 가야 하고 학원도 다녀야 하고, 틈틈이 대학에서 바라는 스펙도 쌓아야 하고. 

독서는 그 스펙중에 한 줄이 되기 십상이다. 그래서 강제로 독서 읽기를 장려하고 있는 지금에 와서도 책을 읽는 인구가 그다지 늘어나지 않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공부머리 독서법은 '독서'를 하면 저절로 '공부'가 된다고 말하고 있다. 그것도 그다지 힘을 들이지 않고 시간까지 절약할 수 있다고 말이다. 그 자세한 과정은 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내 생각에는 거의 다 맞는 말이었다. 


작가의 경험에도 적혀 있지만, 내 경험도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나, 초등학교 우등생이 중학생이 되어서 크게 학력이 떨어지더라는 말에 깜짝 놀랐다. 그동안 숱하게 보아왔던 아이들이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그 원인을 지나친 사교육 의존이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나는 초등에서 제대로 평가하지 못해 아이들이 자기 실력을 착각했던 거라고 여겼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은 정말로 '우수'했었으나, 독서가 부족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해보면 당연하다. 학원을 서너개 다니면서 어느 시간에 독서를 했겠는가.)


극단적으로 말해, 지식이 늘어나는 것은 어휘가 늘어난다는 것이다. 우리가 어려운 말을 못 알아듣는 것은 그것을 읽거나 쓸 줄 몰라서가 아니다. 그 의미를 이해하고 충분히 받아들여 '사용'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느 분야의 전문 용어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 그 분야의 전문가이다. 그렇게 되기까지 그토록 오랜 시간 공을 들이는 것이다. 그렇게 따지면 독서가 중요함은 명백하다. 새로운 어휘를 쉽게 받아들이는 데 독서만한 것이 있을까. 


아무쪼록 이 책이 엄마들에게 널리 읽혀서 아이들을 가두고 지식을 주입하는 교육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생각하게 하는 교육으로, 책을 사랑하고 어디서든 책을 꺼내 읽는 아이들을 길러내는 교육으로 우리의 교육 문화가 변화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학교 국어책이 쉬워지는 토론 수업 먼저 시작하는 예비 중학생 국어 수업 2
김소라.방윤숙 지음 / 팜파스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월드 카페 원칙이지만, 모든 의사소통 활동에서 지켜져야 할 원칙이라고 생각한다. 훨씬 더 생산성 있지 않을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책으로 읽는 아이들 마음 - 소아정신과 의사 서천석의
서천석 지음 / 창비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1학년 아들이 학교에서 색종이를 잘라 끼워서 알록달록 만드는 베짜기를 하다가 잘 안되었는지 결국 다 못하고 집에서 숙제로 해오라고 했다며 속상해했다. 그러면서 아들이 "나 엄마 생각 많이 났어요"라고 하는데, 아하.. 요녀석 적응이 어려우니 떨어져 있다는 게 불안해졌구나 생각했다. 그래도 보고 싶은 것 잘 참고, 학교에서는 울지 않고, 엄마 보면서 그 때를 생각하니 울먹여지는 아들은 전보다 조금 더 큰 아들이다.

 

어른이 된 다음에도 나역시 낯선곳에서 엄마를 떠올렸다. 성인인 나에게도 분리불안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